•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식가 세친의 극미설- 극미의 결합방식에 대한 일고찰 (The paramāṇu Theory of Vasubandhu, the Yogācāravādin- Focusing on the Types of Atomic Combin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09
33P 미리보기
유식가 세친의 극미설- 극미의 결합방식에 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1호 / 165 ~ 197페이지
    · 저자명 : 이규완

    초록

    극미개념과 극미의 결합방식에 대한 논의는 각 학파의 철학적 정체성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다. 세친은 추상적이고 복잡한 아비다르마철학의 전개를 위한 구상적 도구로 극미개념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구사론주 세친과 유식가 세친은 극미개념과 극미의 결합에 대한 해석에서도 명확한 차이점을 드러낸다. 『유식이십론』 게송 11에서 극미의 결합을 지칭하는 saṃhatā라는 용어는 현장에 의해 “화합 등”으로 번역되었으며, 이하 주석의 번역에서 “화합과 화집”으로 풀이되었다. 그러나 이 화합(和合)과 화집(和集)은 현장의 번역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법상종의 창작품으로 여겨졌다.
    이 논문에서는 AKBh I.44ab에 등장하는 saṃcita가 『구사론』에서는 적집(積集)으로 한역되었지만, 극미의 결합에 관한 논쟁이 전개되는 『순정리론』에서 화합(和合)으로 번역되었음을 밝힌다. 그리고 『순정리론』의 논란에서 정의되는 화합과 화집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니야야수트라바시 냠』에는 니야야학파의 결합개념이 saṃyoga를 부정하는 sañcaya와 samudāya라는 두 가지 입장의 결합방식이 소개되고 있다. 이 결합방식은 내용적으로 화합과 화집에 대응한다. 따라서 『순정리론』에서 논란이 되는 화합과 화집은 각각 sañcaya(saṃciata)와 samudāya(samudita)에 상응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사론주 세친은 개별극미의 그것으로 만들어진 화합의 실재성을 모두 인정하였다. 그러나 유식가 세친은 개별극미를 종자(種子, bīja)로 대체하여 물질의 기본단위인 극미의 실재성은 부정하지만, 인식의 대상으로 주어지는 화합상의 설명방식은 채택한다. 개별극미의 실재성이 부정되기 때문에, 상좌의 주장과 같이 화합상은 가설적인 존재가 된다. 이 가설적인 존재인 화합상이 인식대상이며, 그것은 외계대상과는 다른 “오직 표상(vijñaptimātra)”일 뿐이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paramāṇu and the methods of its combination serve as a touchstone to test the philosophical identities of various Buddhist schools. Vasubandhu was the typical one who effectively used the theories of paramāṇu to make tangible expositions of the highly abstract and complicated Abhidharmic philosophy. As a consequence, Kośakāra Vasubandhu and Yogācāra Vasubandhu betrayed very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of paramāṇu and the ways it combines. The term saṃhatā in Vimśikā v.11, meaning the combination of paramāṇus, was translated into “héhé etc. (和合等)” and explained as “héhé (和合) and héjí (和集)” by Xuánzàng (玄奘). Since those two terms appear only in the texts translated by Xuánzàng, most Buddhist scholars considered them as explanatory addition by the Chinese Yogācāra scholars.
    This article shows that saṃcita in AKBh I.44ab, translated into jījí (積集)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Abhidharmakośa, is translated into héhé (和合)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the ways of paramāṇu combination in the Xuánzàng's translation of Nyāyānusāra. In addition, the two distinctive ways of paramāṇu combination are refuted in Nyāyasūtra & Bhaṣyam, where saṃyoga is acknowledged as the established concept of paramāṇu combination as opposed to the two other ways including sañcaya and samudāya.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debate in Nyāyānusāra (順正理論), it is proved that the way of paramāṇu combination supported by the Sautrāntika's Śrīlāta, héhé (和合), parallels to sañcaya (or saṃcita) and héjí (和集) by Sanghabhadra to samudāya (samudita).
    Kośakāra Vasubandhu acknowledged the reality of the individual pramāṇu as well as the paramāṇu compound (*saṃcita-paramāṇu). However, Yogācāra Vasubandhu denies the reality of individual paramāṇu (against Śrīlāta), replacing the material basic building block with the notion of seeds (bīja). Vasubandhu, though, continues to adopt the theory of saṃcita in order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cognition (ālambana). Following the theory of Śrīlāta, Vasubandhu regards this object of cognition, the paramāṇu compound (saṃcita), as conventionally existing being (prajñaptisat). Consequently, Vasubandhu argues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ālambana) is the paramāṇu compound (*saṃcitaparamāṇu), which turns out mere conventionally existing being (prajñaptisat), and therefore the object of cognition is “mere representation (vijñaptimātra)” not the real being externally exis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