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필로티 건축 양식이 가진 미의식의 인지 신경 과학적 해석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for Piloti-type Building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Neuroscienc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9
14P 미리보기
필로티 건축 양식이 가진 미의식의 인지 신경 과학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8권 / 3호 / 303 ~ 316페이지
    · 저자명 : 이기, 조택연

    초록

    필로티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문화에 존재해온 보편적 건축 양식이다. 각기 다른 지리적 환경의 문화권이필로티 양식을 가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 건축양식이 폭넓게 나타난 이유는 심미성과 기능성을 함께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의 건축 환경의 발전은기능성의 굴레에서 벗어났지만, 필로티 양식은 여전히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필로티 양식이 가진호감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필로티 양식이 가진 미의식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인문학 기반의 미학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을 도구로 필로티 양식이가진 미의식의 구조를 다음 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필로티 양식의 기능성을 분석하여 건축적 특징을 분류해 정리한다. 둘째, 이렇게 정리되 구조를진화미학 관점에서 보편적 호감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 Habitat Theory와 Prospect Refuge Theory를 사용해 분석한다. 즉 Mirror Neuron 기반의 Embodied Simulation 반응을 통해, 외부에서 관찰한 필로티 건축의 미의식이 내부에서 느끼는 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필로티 건축의 주거 공간과 필로티 부분의 미의식 사이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필로티의 지표와 상층부에 대한 뇌 활성화를 분석한 결과, 상층부에서 더 강렬하게 활성화된 뇌영역은 아래쪽 측두엽(ITL)과 뒤족 두정엽(PTL)임을알게 되었다. 물체 인식의 강한 활성화는 필로티 건축의 상층부에서 주변 환경을 더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진화미학과 괘감의 가치(Hedonic Value)를 결합한 연구에서, 이를 필로티 건축의 상부공간에 대한 미의식의 원천으로 보고 있다.
    필로티 건축의 상층 공간과 하층 필로티 구조의 높은 대조적 형태는 시각 피질(Occipital cortex)에서 망막세포와 뉴런의 지각에 더 민감하고 주의를 끌기 쉽다. 이러한 집중력은 필로티 건축 상부공간에 대한주목성을 높이고, 이를 이상적 대피소로 여기는 기대가 충족되면서 필로티 건축에 대한 호감도가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에 기초하여 필로티 양식에 대한 호감의 근원을 탐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러문화권에서 나타나는 필로티 양식을 신경학적 구조를해석하였다

    영어초록

    Piloti-style is an important architectural style that has long existed in various cultures. It is worth noting that such Pilot-style architecture exists in all cultures in different geographical environments. The reason why this architectural style has appeared extensively is due to its sense of beauty and functionality. Although the architectural design is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functionality due to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Pilot-style architecture still remains alive in modern architecture. Various types of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ferences of Piloti-type buildings. Currently, most of the research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Piloti-type buildings mainly concentrates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perspective based on the humanistic found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se cognitive neuroscience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Piloti-type styl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of all, the functions of Pilotitype buildings were studied to find their architectural features. Secondly, the common preferences of humankind related to Piloti-type buildings were illustrated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aesthetics, and the habitat theory and prospect shelter theory among them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Piloti-style buildings. After that, the aesthetic effects of the upper living space and the overhead part of Piloti-type building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to find differences. And the differences were found by analyzing the brain activation areas on the ground and in the air. The brain areas that were activated by reinforcement in the air included inferior temporal lobe (ITL) and posterior parietal lobe (PTL). These areas have been proven in the research that can be used for object recognition. Such enhancement and activation of object recognition illustrated that the surroundings can be encoded faster in the upper space of Piloti-type buildings, and related conclusions were also drawn in behavioral experiments.
    After studying the integrated definition of evolutionary aesthetics and hedonic values, this research held that it was a source of beauty in the upper space of Piloti-type buildings. While the high-contrast form of upper space and lower overhead structure of Piloti-type buildings was more sensitive and easier to get attention from the perception of retinal cells and neurons in the occipital cortex. Such attention increased the focus on the upper space of Piloti-type buildings and reinforced the liking for Piloti-type buildings after the expectations for ideal shelter were satisfied under intense attention.
    This study explored the source of beauty for Piloti-type buildings in light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explained the reason why Piloti-type buildings emerged extensivel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