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건물의 개념과 미완성건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A Legal Review on the Concept of Building and the Legal Status of Unfinished Building)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06
32P 미리보기
건물의 개념과 미완성건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법학 / 36권 / 1호 / 85 ~ 116페이지
    · 저자명 : 최현숙

    초록

    일반적으로 건물이라고 할 때 사회통념상 건물의 개념이 있지만 이는 법에서 말하는 건물과 그 의미를 달리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건물과 관련한 규정을 두고 있는 법률이라고 하더라도 법률마다 그 개념을 달리하고 있다. 이들 각 법률상 건물의 개념은 건물에 대한 강제집행이 실시되는 경우에 개념의 차이로 인하여 법리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민법상 건물의 개념과 부동산등기법상 건물의 개념, 건축법상 건축물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건물의 개념에 대한 정의를 통일할 여지는 없는지 검토해보았으나 각 법률의 입법목적 그리고 보호하고자 하는 법익이 다르기 때문에 통일된 개념을 도출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었다. 다만, 건축법상 건축물과 부동산등기법상 건물은 양자가 공통점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건축법상 건축물에 해당한다면 부동산등기법상으로도 건물로 인정하여 줌으로써 등기관이 가지고 있는 형식적 심사권의 한계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실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건물은 토지와 달리 등기되었을 때 독립성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미완성의 건물이라도 최소한의 기둥과 지붕 그리고 주벽을 갖추었다면 독립한 부동산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 우리 판례의 일관된 입장이다. 하지만 미완성건물이 소유권의 객체가 된다고 하더라도 등기를 할 수 없기 때문에 권리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이 따름에도 불구하고 소유권의 객체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은 미완성건물에 대하여 일정한 법적 지위를 보장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미완성건물의 각 종 법률상 법적 지위를 검토한 결과 민법에서는 일정한 지위를 보장하여 주고 있지만 건축법이나 부동산등기법에서는 일정한 지위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완성건물에 대한 법적 지위의 차이는 미완성건물에 대한 강제집행을 실시하는 경우에 강제집행을 신청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제출되어야 할 첨부 서류를 마련하기 어렵다는 문제, 건축물대장이 없어서 소유권보존등기를 할 수 없는 등의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법이 미완성건물에 대하여 소유권을 인정하여 주고 있다 보니 우리 판례가 민법상 미완성건물과 건축법상 미완성건축물 그리고 부동산등기법상 미완성건물 간의 개념의 차이를 좁혀서 미완성건물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여 주는 방향으로 변경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완성건물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입법을 하는 것에는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무허가건축물이나 건축허가를 위반한 미완성건물에 대한 법익까지 보호할 필요는 없으므로 미완성건물에 대한 법적 지위를 전체적으로 강화하기 보다는 미완성건물 중에서도 미등기건물에 대해서만 부동산등기법이나 건축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도에서 제한적으로 법적 지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Generally, when we call a 'Building', there is a concept of a building by a socially accepted idea, but in many cases, this often differs from what the law says. In addition, the concept differs depending on the different laws, even if there is a law having building-related regulations. Each of these legal concepts of the building would result in a conflict of legal principles due to differences in concepts in the event of a compulsory execution against the building. Thus, we looked through the possibility of unifying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building after reviewing the concepts of building under the civil law,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and the building law. However, we could only see that it was difficult to deduce a unified concept because each law had different legislative purposes and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o protect. However, under the building law and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buildings often share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so it will reap a harvest of actual profits releasing the limitations of formal reviewing authority held by the registration officer by recognizing as a building under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in case of a building under the building law.
    Unlike land, it is the consistent position of our judicial precedents that the building does not acquire independence when registered and that even an unfinished building i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property if it is equipped with a minimum of columns, roofs, and main walls. However, even if an unfinished building becomes an object of ownership, it cannot be registered, so it can be thought that the recognition of unfinished building as an object of ownership despite various restrictions in protecting rights is due to the need to ensure a certain legal status for the unfinished building. Thus, after reviewing the legal status of each unfinished build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unfinished building did not have a certain status under the building law or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while civil law guarantees a certain status.
    The difference in the legal status of an unfinished building could be found to be realistic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preparing attachments that must be submitted in applying for compulsory execution of unfinished buildings, and the impossibility for registration of ownership preservation due to lack of a building register. Nevertheless, as the civil law recognizes ownership of unfinished buildings, we could see that our precedents were being changed to strengthen the legal status of unfinished buildings by closing a gap in concepts among unfinished buildings under civil law, the building law, and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Even if the legislation to strengthen the legal status of unfinished buildings is agreed upon, there is no need to protect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for the unlicensed buildings or the unfinished buildings that violate building permits. Thus, rather than strengthening the overall legal status of unfinished buildings, the revision should be made to restrictively strengthen legal status only for unregistered buildings of the unfinished building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harmonized with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or the building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