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지각 과정으로서 미메시스의 이해와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Understanding and Structure of Mimesis as a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03
8P 미리보기
디자인 지각 과정으로서 미메시스의 이해와 구조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9권 / 1호 / 11 ~ 18페이지
    · 저자명 : 고재성

    초록

    소통으로서 상징에는 기호적인 코드와 미메시스적인 코드가 동시에 들어 있다. 전자는 대상 그 자체의코드이며 후자는 대상의 경험된 흔적에 의해 생성된코드이다. 즉 상징은 대상의 경험된 흔적에 의해 재현된 대상의 잉여 표현이다. 그런 상징에 의해 인간은감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 자신을 둘러싼환경과 현실을 지각할 수 있게 된다. 그로써 가상의체험이 가능하게 된다. 가상의 체험은 디지털 매체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지각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미메시스를 이해하여 디지털 매체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지각 과정을 탐구함과 동시에 가상의 체험으로서 미메시스의 구조가 변증법적 원리에 근거한무의식이 표상되는 은유의 구조와 유사한 것임을 확인하고 그런 구조에서 이미지가 결합될 확률과 비율에 관한 이해를 배경 및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미메시스의 특징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다. 미메시스의 대상인 비감각적 유사성은 라캉의 무의식에 대입해 이해한다. 무의식이 표상되는 매체는 은유이다.
    따라서 은유의 구조를 미메시스의 구조로 이해하고무의식이 출현되는 과정의 아날로지인 피보나치 수열에 대입하여 이미지가 결합될 확률과 비율을 이해한다. 이해를 바탕으로 미메시스의 구조가 무의식이 표상되는 은유의 구조와 유사함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런 구조에서 이미지가 결합될 확률과 비율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메시스의 구조가 변증법적 원리에 근거한 무의식이 표상되는 은유의 구조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미메시스는 디자인 지각 과정이며 그런 과정에서 재현된 이미지는 황금비율에 근사한 확률과 비율로 대상의 이미지와 결합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미메시스의 이해와 구조에 관한 논의는 디자인 지각과정의 이해이다.

    영어초록

    For communication symbols, there are semiotic codes and mimetic codes at the same time. The former is a code of an object itself, and the latter is a code created by the trace experienced of an object. That is, a symbol is the surplus expression of an object that is reproduced by a trace experienced of an object. With such a symbol, humans are able to perceive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ality while exceeding the scope which they can perceive with their senses;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have a virtual experience. A virtual experience is concerned with the perception of design required in digital media. Consequently, also as a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required in digital media by understanding mimesis as a virtual experience; and, simultaneously, to confirm that the structure of mimesis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metaphor where unconsciousness based on a dialectic law is symbolized, and to understand the probability and ratio of the combination of images within that structure. The research method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imesis are as follows. The non-sensible similarity that is an object of mimesis is understood by being substituted for Lacan’s unconsciousness. The medium with which unconsciousness is symbolized is a metaphor. Accordingly, the probability and ratio of the combination of images is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 metaphor as the structure of mimesis and by applying it into the Fibonacci sequence, which is an analogy of the process in which unconsciousness appears. Then i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based on that understanding, the similarity of the structure of mimesis with the structure of a metaphor where unconsciousness is symbolized is 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obability and ratio of the combination of images within that structure is explored. The contents deduced through the above methods are as follow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mimesis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metaphor where unconsciousness based on a dialectic law is symbolized. Also, the study confirmed that mimesis is the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and images reproduced during that process are combined with the images of objects with a probability and ratio close to the golden ratio.
    Subsequently, discussion on an understanding and structure of mimesis is an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process of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