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지 신경과학에 기초한 상형(象形) 건축의 미의식 연구 (An Aesthetic Study of Pictographic Architecture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12
12P 미리보기
인지 신경과학에 기초한 상형(象形) 건축의 미의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7권 / 4호 / 379 ~ 390페이지
    · 저자명 : 유욱, 조택연

    초록

    미국의 자유의 여신상에서 ‘중국에서 선정하는 못생긴 10대 건축’ 선정에 이르기까지, 대상의 모습을 흉내 낸 상형 건축은 항상 대중과 언론이 흥미진진하게여기는 건축 현상이다. 상형(象形) 건축은 세계 도처에서 시도되지만, 상형 건축에 대한 건축계의 연구는많지 않다, 상형 건축물에 대한 평가 대부분은 근대건축의 평가 기준을 따르거나, 주관적인 미의식을 통해 평가된다. 이런 평가 방법은 의심할 여지 없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그것의 본질에 다가가기 어렵다. 본연구는 상형 건축에서 느껴지는 긍정 혹은 부정적인감정 모두가 두뇌에서 일어나는 시각 자극 처리와 신경 지능의 작동 구조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신경과학에서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상형 건축의감상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를 설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형 건축이 시도되어온 맥락을 시간순으로 정리하였고, 기존 상형 건축을 평가하는 기준을 연구 정리했다. 다음으로, 신경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상형 건축이 가진 의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처리되는 두뇌 메커니즘으로 설명하고, 상형 건축을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를 다음 세 가지로 정리했다. 첫째, 두뇌 두정 경로(Dorsal pathway)가 상형 건축의 세속적 의미를 해석하는 구조이다. 둘째, 뇌의전두엽은 하향식 (top-down) 인지 처리를 통해 상형건축에 편견을 갖게 되는 구조이다. 셋째, 전형적 원형(typical prototypes)의 유사성이 뇌의 시각 처리 즐거움을 감소시키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두뇌의 상형건축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메커니즘을 분석해, 상형건축물을 좋아하는 이유를 요약하고, 아래 세 가지 방면으로 정리했다. 첫째, 두뇌가 처리하려는 시각 정보에 익숙할수록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해마의기억시스템 활성화에서 더 큰 즐거움 얻을 수 있다.
    셋째, 대상회(cingulate cortex)는 보상 신호를 받으면좋음의 감정에 도달한다.
    본 연구는 인지 신경과학을 바탕으로 뇌의 시각 처리와 감정의 연계에 대한 신경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상형 건축에 대한 두 가지 감정 구조를 설명하고 상형 건축을 좀 더 과학적으로 평가할수 있다. 상형 건축 인지적 감상을 통해 향후 상형 건축 설계 및 연구에 대한 과학적 참고 자료를 제공할수 있다.

    영어초록

    From the statue of liberty in the United States to the selection of “top ten ugliest buildings in China”, pictographic architecture has been an architectural phenomenon that the media and the mass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most. All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pictographic architectures, but there are a few studies on these architectures. The comments on these pictographic architectures are based on the evaluation standard of modernism architecture or the subjective feeling, so such evaluation method is too abstract to master its essence. The study thinks that the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felt from the pictographic architectures are related to the visual stimulation processing in the brain and the automatic structure of neural intelligence. Therefore, based on the prior study of cognitive neuroscience, the study explains the two emotional statuses of people when appreciating the pictographic architecture. Firstly, the development of pictographic architectures would be sorted out according to the time order so as to sort out the standard to evaluate the existing pictographic architectures. Secondly, based on the study on neuroscience, the study tries to explain the negative feeling represented by the pictographic architectures with the mechanism of brain visual cognitive processing. Finally, it is concluded with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ly, the brain’s dorsal pathway interprets the pictographic architecture’s kitsch significance.
    Secondly, the prejudice on pictographic architectures is generated in the prefrontal region through top-down cognition processing. Thirdly, the similarity of typical prototypes reduces the processing fun of brain visual processing. Then, there is an analysis on the positive evaluation mechanism of the brain on pictographic architecture and it is concluded with three reasons for the preference for pictographic architecture. Here is sorted with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the brain would make a more positive evaluation when processing the more familiar visual information; Secondly, there would be much more happiness in the activation of the hippocampal memory system; Thirdly, there would be a sense of pleasure when the cingulate cortex receives the compensation signal.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the study explains the two emotional structures on pictographic architectures from a new perspective with the help of the brain’s visual processing and the neural mechanism of emotional connection, so as to have a more scientific evaluation of the pictographic architectures.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 scientific reference for the pictographic architectures design and studies in the future through the cognitive appreciation of these archite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