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연령차별과 장애차별에 관한 미연방대법원 판례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Decisions on Age Discrimination and Disability Discrimination)

5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0.02
58P 미리보기
연령차별과 장애차별에 관한 미연방대법원 판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1권 / 1호 / 39 ~ 96페이지
    · 저자명 : 박승호

    초록

    법률이 사람들을 차별하는 많은 방법들이 존재한다. 예컨대 누가 중학교 교사가 될 수 있는지, 누가 선거권이나 피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누가 방송국을 운영할 수 있는지, 누가 택시운전을 할 수 있는지, 누가 경찰관이 될 수 있는지, 등을 결정하는 법들은 모두 차별에 관련되어 있다. 이들 중 어느 것이나 평등보호 위반을 이유로 헌법적 심사를 요청받을 수 있다.
    주지하듯이 미연방대법원은 평등보호심사를 할 때 3단계 심사기준에 의거한다. 즉 엄격심사기준, 중간심사기준, 그리고 합리성심사기준이다. 미연방대법원은 예컨대 인종, 출신국가, 외국인신분 등에 의거하여 차별하는 법들에 대해서는 엄격심사기준을 적용하고, 성별, 혼외자신분 등에 의거하여 차별하는 법들에 대해서는 중간심사기준을 적용한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경제적 및 사회적 입법에 대해서는 합리성심사기준을 적용해 왔으며, 법적 차별이 연령에 의거한 차별, 장애에 의거한 차별, 그리고 부(wealth)에 의거한 차별인 경우에도 합리성심사기준을 적용해왔다.
    인종, 출신국가, 성별, 외국인신분, 그리고 혼외자신분에 의거한 차별의 경우에 강화된 심사를 정당화하는 요인들 중의 많은 것이 연령에 의거한 차별과 장애에 의거한 차별의 경우에도 존재한다. 종종 고정관념에 의거한 판단으로써 노인들을 불합리하게 차별한 역사가 존재한다. 인간의 나이는, 사람이 그것을 자발적으로 변경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그리고 그것은 눈에 보이는 특성이라는 의미에서, 변경불가능한 것이다. 또 장애인은 역사적으로 부당하고 기괴한 학대를 받아왔으며 부당한 편견의 대상이었다. 장애인들은 정치적으로 커다란 힘을 발휘해오지 못했으며 장애인들의 상황은 변경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미연방대법원은 연령에 의거한 차별과 장애에 의거한 차별에 대해 평등보호 조항 하에서 심사할 경우 합리성 기준에 따라서만 심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연령차별과 장애차별의 경우에 원고는 문제가 된 법을 위한 어떠한 정당화사유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또는 선택된 수단이 정부가 주장하는 이익에 합리적으로 관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연령차별과 장애차별에 대하여 강화된 심사를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는 각각 Murgia 사건과 Schweiker v. Wilson 사건에서 실패하였다.

    영어초록

    There are so many ways that governments draw distinctions among people. For example, laws that determine who can have a driver's license, who can be a police officer all involve classifications. Any of these laws can be challenged as denying equal protection. Each would be subjected only to rational basis review, unless the discrimination was with regard to race, national origin, gender, alienage, or legitimacy. Thus far, these are the only types of discrimination for which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as approved either intermediate or strict scrutin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as expressly rejected heightened scrutiny for some other types of discrimination.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only rational basis review should be used for discrimination based on age and for discrimination based on disability even if these classifications share much in common with the types of discrimination for which heightened scrutiny is used.
    There is a history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elderly with judgements often based on stereotypes. A person's age is immutable in the sense that a person cannot voluntarily change it and it is a characteristic that is visible. However,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has expressly declared that only rational basis review should be used under equal protection analysis for discrimination based on age.
    Under rational basis review the plaintiff has the burden of showing that there is no legitimate reason for the targeted law, or that the means are not rationally related to the asserted government interest.
    In Murgia(427U.S.307), Bradely(440U.S.93) and Gregory(501U.S.452), using rational basis review, the court ruled that states might impose a mandatory retirement age for police officers, and that federal law might impose different mandatory retirement age for different government jobs.
    Although the rational basis test makes it very difficult to challenge age classifications under the Constitution, the Federal Age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ct prohibits age discrimination and specifically outlaws mandatory retirement ages.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also has ruled that only rational basis review should be used for discrimination based on disability. Accordingly, laws that discriminate against the mentally retarded or the mentally ill receive rational basis review.
    In Cleburne Living Center(473U.S.432), using rational basis test, the court invalidated a city's denial of a special use permit for the operation of a group home for the mentally retarded. Laws that restrict the location of group homes for the mentally retarded may not be based on antipathy toward the mentally retarded. In Doe(509U.S.312), using rational basis test, the court upheld a Kentucky law which set different standards of proof for commitment of the mentally ill and the mentally retarded, and allowed guardians and family members to participate as parties in commitment proceedings for the mentally retarded , but not for the mentally ill. State laws that distinguish between mentally ill and mentally retarded persons are permiss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