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문화의 미적 가치개념에 대한 도가적 해명 (Understanding Korean Aesth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Daois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8.06
34P 미리보기
한국문화의 미적 가치개념에 대한 도가적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36호 / 383 ~ 416페이지
    · 저자명 : 김중순

    초록

    한국미에 관한 논의는 지난 세기 동안 국내외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각도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전문적인 학술연구라기 보다는 논자의 직관적 판단이나 개인의 인상을 서술하는데 그쳤다. 게다가 한국미론이라 해도 거의 모두가 미술 즉 조형예술을 대상으로 삼아 그 특질을 논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한국미론은 한국미술사 연구의 부산물이라는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한국미가 미술의 전유물일 수는 없다. 인문주의라는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연구 영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음악, 무용, 시가, 문학 등에서는 이미 그러한 시도가 있으나, 불교 · 유교 · 도교 · 무속 등 다양한 사상적 종교적 이념과의 연관 속에서나 일상의 삶 속에서는 아직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연구자들은 대부분이 한국미의 원리를 일원적인 관점에서 조명했다는 사실도 눈에 띈다. 이를테면 선, 비애, 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자연주의, 멋, 대담성, 자유분방함, 무관심, 한, 신명 등의 개념으로 한국미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미의식이라는 것은 다른 관념과 달리 인간의 생생한 감각적 차원과 관련되기에 매우 다채로운 면이 있다. 그만큼 애매한 면도 없지 않다. ‘이러하면서도 저러하다’거나 ‘적요한 유머’나 ‘어른 같은 아해’처럼 모순된 개념이 동시에 나타나는 게 한국미이기 때문이다. 많은 미학론들이 유려하고 화려한 형용사로 미적 직관의 세계를 감지해내는데 훌륭했고 우리에게 감복을 준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렇게 다양한 편차들을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고, 이것을 학문적으로 어떻게 정립하느냐가 과제다. 한국미를 논한다는 것은 적어도 객관적인 언어로 개념화시키고 그것을 대외적으로 설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나치게 한국미의 고유성, 정체성과 같은 틀에서만 문제가 논의되다 보니 한국미는 신비화되어버린 부분도 없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것을 상대화하고 일반화하기 위해서 특히 도가(道家) 철학 혹은 거기에 담긴 종교적 이념의 시각으로 한국미를 재검토 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iscussion about Korean aesthetics has taken place over the last century based on the various perspectives of scholars both at home and abroad. However, in most cases this discussion has lacked academic rigor and has been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intuitive conclusions or personal impressions. Moreover, under the name of "Korean aesthetic studies" it has largely been concerned with discussions of the plastic arts. Therefore, Korean aesthetic studies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a byproduct of the research of art historians and has been unable to overcome this inherent limitation. However, the study of Korean aesthetics is not the exclusive domain of art historians. With a basis in humanism, it needs to expand and create its own field of study. While there is some evidence of this kind of expansion into the fields of music, dance, poetry and literature, it is hard to find discussion about the varie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principles of Buddhism, Confucianism, Daoism, and Shamanism in connection with everyday life.

    Furthermore, most established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principles of Korean aesthetics from a single perspective, such as concepts of line (선), grief (비애), 'skillless' skill (무기교의 기교), planless planning (무계획의 계획), naturalism (자연주의), style (멋), boldness (대담성), free-spiritedness (자유분방함), indifference (무관심), heartburning (한), and release of spiritual human nature (신명). However, aesthetic consciousness has various aspects because it differs from other forms of consciousness insofar as it is related to the vivid sensory dimensions of human beings. Also, there is an apparently illogical element in the contradictory nature of concepts such as "its like this and that," "lonely humor," or "adult-like children," which appear in discussions about Korean aesthetics. Nevertheless, many aesthetic theories manage to convey the aesthetic intuition through elegant and splendid phrases, which convey the magnificence of their subject and inspire a sense of admiration in us.

    The task facing us now, however, is to embrace these various contradictions and to organize them in an academic way. Korean aesthetics should be conceptualized with objective language and be persuasive on the basis of an objective standpoint. The past tendency to engage in discussions obsessively based on the inherent peculiarity and unique identity of Korean aesthetics has tended to shroud the subject with a veil of mystery. This paper, therefore, will address these problems, and attempt to establish a more universal and objective view of Korean aesthetics by reexamining this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s of Dao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