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생물 분포 및 보존현황 (Microorganism Distribution and Preservation Status of Mural Paintings in the Goguryeo Tombs in North Korea)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12
8P 미리보기
북한 고구려 벽화고분의 미생물 분포 및 보존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보존과학회지 / 39권 / 4호 / 613 ~ 620페이지
    · 저자명 : 정용재

    초록

    고구려 고분은 북한과 중국에 나뉘어 분포해 있다. 고구려 왕국은 BC 3세기에서 AD 7세기까지 북동중국과 한반도의 반을 차지하였던 가장 강력한 한국의 고대 왕국의 하나이다. 2004년 중국소주에서 열린 제 28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구려 고분 가운데 63기의 고분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고구려 고분군은 2004년 세계유산 등재이전부터 UNESCO, ICCROM, ICOMOS 등 국제기구로부터 보존관리를 위한 기술 및 전문가 교육 등의 지원이 수행되었다. 1998년 북한의 요청으로북한의 고구려고분벽화에 대한 일련의 조사와 보존활동이 시작되었고, 한국정부가 2000년부터 약수리 고분의 보존을 위해 10만 달러를 UNESCO에 지원함으로써 이탈리아 등 국제 보존전문가에 의해벽화고분의 과학적인 보존상태 조사가 이루어 졌다. 이후 2005년 7월19일부터 7월30일까지 남한의고구려연구재단과 북한의 사회과학원 및 문화보존지도국 인원들로 구성된 고구려유적 남북공동조사단은 평양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분단이후 첫 공동조사가 실시되었다. 특히 2006년 남북공동 고구려벽화고분 보존 실태조사는 남한의 보존과학 전문가가 처음 참여하여 벽화고분의 보존상태 진단, 보존환경, 벽화 안료분석 등을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8기 벽화고분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이후 2007년 지속적인 고분 내 환경모니터링의 필요성에 따라 환경측정 장비설치 지원 등이이루어졌으나 이후 추가적인 남북공동 조사 및 연구는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북한소재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생물 분포현황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향후 국제적 공동보존방안수립을 위해서 2006년 남북역사학자협의회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공동 발간한 ‘남북공동 고구려벽화고분 보존상태조사 보고서’ 에 수록된 결과 중 그동안 학회에 발표되지 않은 ‘고구려벽화고분 생물⋅환경조사’ 결과를 정리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ncient Goguryeo tombs are spread throughout North Korea and China. The GoguryeoKingdom was one of the most powerful Korean kingdoms that occupied half of Northeast China and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3rd century BC to the 7th century AD. In 2004, at the 28th sessionof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held in Suzhou, China, 63 of these tombs were designated as WorldHeritage Sites. Previous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UNESCO, ICCROM, and ICOMOSprovided technical and expert training support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uch tombs.
    In 1998, at the request of North Korea, a series of investigations and conservation activities beganon the tomb murals, and in 2000, international experts began investigating the scientific preservationstatus of the Yaksu‑ri tomb murals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assistance of $100,000provided to UNESCO. From July 19th to 30th, 2005, the Goguryeo Relics North‑South Korea JointInvestigation Team, consisting of members of the Goguryeo Research Foundation in South Korea andthe North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Cultural Conservation Guidance, conducted its firstjoint investigation of the ruins since the two countries were divided. The 2006 Inter‑Korean JointGoguryeo Mural Tomb Preservation Survey was the first time that South Korean conservation expertsparticipated in scientifically investigating the preservation status and environment of mural tombs andmural pigment analysis. This was to secure comprehensive data on eight tombs. In 2007, additionalsuppor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necessary measurement equipment was provided to continuouslymonitor the environments of the ancient tombs. Subsequently, no additional inter‑Korean jointinvestigation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of microorganisms in the mural paintings of the tombs and to help establish a future joint preservation plan this study summarizes and reports on the “examination of a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urveyof the Goguryeo tomb mural paintings” from the results of the 2006 Inter-Korean Joint GoguryeoMural Conservation Survey Report, jointly published by the Inter-Korean Historians Association and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presented atacademic confer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존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