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융합적 시각으로 본 조선기생의 골계미 (The Golgye-mi of Joseon Gisaeng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10
27P 미리보기
융합적 시각으로 본 조선기생의 골계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80호 / 107 ~ 133페이지
    · 저자명 : 이화형

    초록

    일찍이 고려 중기에 최자는 시비평서에 해당하는 『보한집』을 편찬하는 목적을 제시하는 가운데 詩를 논하면서 ‘골계’라는 용어를 통해 웃음에 대한 가치를 부각시킨 바 있다. 그 후 골계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새로운 인간상을 구현하는 미적 범주로 간주되어 왔다. 그동안 골계를 포함하는 시가의 웃음에 대한 연구도 있었다.
    아울러 시가를 담당해온 기생들에 대한 관심도 깊어져 기생의 직분에서 유로되는 사랑에 집중하는 데서 벗어나며 관심의 폭을 확장하여 기생문화 전반에 대한 진지한 논의들이 이어져 왔다. 그러나 기생 시조를 대상으로 융합적 시각에서 기생들의 삶의 태도에 접근하여 그녀들이 보여준 골계를 기생의 정체성과 연계하여 분석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기생들은 평시조를 통해 자신들의 미의식을 적절히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인간으로서 비인간적 삶에 반발하고, 여성으로서 남성주도적인 성억압에 불만을 가지며 기녀로서 종적 신분 질서에 맞서는 융합적 주체의 모습을 보였다. 특히 기생 스스로 한 나라의 흥망을 판단하려면 기생의 복식과 언어와 행동을 살펴보았다는 속담이 있음을 거론했고, 기생의 문화 속에서 기생이 해학을 잘하는 것은 천금을 줘도 아깝지 않다고 하는 견해도 발견된다.
    요컨대 기생 문학의 주류에 속하는 시조 자료의 출전은 박을수의 『한국시조대사전』 상․하(아세아문화사, 1992)에 따랐다.
    를 대상으로 국가적 연예뿐만 아니라 풍류사회의 여흥에 봉사해야 하는 기생의 정체성과 관련된 골계미를 인간적, 여성적, 기생적 측면의 융합적 방법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terest in gisaengs who have been in charge of poetry has deepened, and serious discussions on the entire gisaeng culture have continued by expanding the scope of interest, focusing on love that is free from the gisaeng’s job.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on the golgye they showed in connection with the identity of gisaeng, focusing on the lifestyles of gisaengs from a convergent perspective. Gisaengs not only properly expressed their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sijo but also protested non-human life as humans, were dissatisfied with male-led sexual oppression as women, and showed the appearance of convergent subjects against the longitudinal status order as gisaengs. In particular, they mentioned that there was a saying that gisaengs looked at gisaengs’ clothing, language, and behavior to judge the rise and fall of a country, and in gisaeng culture, it is not a waste of money to be humorous. In summary,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scuss the golgyemi related to the identity of the gisaeng, who must provide not only national entertainment but also the entertainment of society, using a fusion method that combines human, feminine, and gisaeng asp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