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몽과 해방의 미시사 -정비석의 『자유부인』- (A Micro-history on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Jeong, Bi-seok's Madame Freedom(Jayu-Bui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1.10
20P 미리보기
계몽과 해방의 미시사 -정비석의 『자유부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4호 / 177 ~ 196페이지
    · 저자명 : 강상희

    초록

    정비석의 소설 『자유부인』은 한국전쟁 직후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한 여성의 일상 문화를 소설적 형상으로 집약하고 있다. 아울러 그 문화와 길항하고 그것을 규율하는 당대 미시 권력의 다양한 양상을 함께 드러냄으로써 1950년대 한국 사회에 관한 의미 있는 소설적 담론을 제공하고 있다. 『자유부인』의 두 주인공은 동시대에 존재한 계몽과 해방의 가능성을 표상하지만, 그 가능성은 온전하게 실현되지 못한다. 남성 주인공은 자신의 성애적 감각과, 아내의 삶을 새롭게 구조화하고 있는 전후의 구체적인 일상성을 충분히 장악하지 못하고 만다. 이는 전후에 활동한 비판적 지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자유부인』에서 서술자와 남성 주인공이 떠맡은 비판적 지성의 역할은 여성들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일상 문화가 지닌 해방적 가능성까지 소멸시킬 수는 없었다. 『자유부인』은 종전 직후의 혼란스러운 세태에 한 여성 인물을 던져 놓고, 그 시대의 핵심적인 가치들과 관련된 시험들 속에 그 인물을 배치하여 시련과 방황을 겪게 한 다음 윤리적으로 계도하여 귀환시킨 소설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이 소설에 동원된 다양한 서사 전략은 이러한 내적 형식과 그것에 걸맞은 귀결을 짓는 데 기여한 것 같다. 그러나 결말 부분의 작위성 등에서 드러나듯이 여주인공은 계몽에 굴하지 않은 채 위반의 실현을 연기(延期)/연기(演技)한 욕망의 책략을 구사한 인물로 남게 된다. 결국 『자유부인』에서 해방되지 않은 내부의 타자성과 계몽에 포획되지 않은 정념은 규율되지 않은 채 여전히 텍스트의 안과 밖에 남게 된다.

    영어초록

    Jeong Bi-seok's novel, Madame Freedom(Jayu-Buin), represents women's daily life patterns which started to appear right after the Korean War.Also, it provides significant novel discourses about the Korean society of the 1950s, by revealing diverse aspects of the contemporary micro-power, the power related to the new life patterns.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represent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even though the possibility is not fulfilled entirely. The main male character cannot perfectly control his erotic emotion and the patterns which starts to build up his wife's life. This shows the limits of a critical intellectual,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it as well. The critical intellectual, which the narrator and the main male character are responsible for, cannot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liberation within women's diverse daily patterns. The novel places the main female into the confusing situation, making her go through many hardships which are related to the important values of the time, finally leading her into a moral way, letting her come back home. At a glance, the many different narrative strategies used in the novel seems to contribute in the process of building up the inner form and the closing part. However, as informed in the contrived closing part, the main female stays as a character who uses the strategy of desire -the delaying/acting to violate the taboo- , since she is not affected by the enlightenment. At last, the pathos, not being captured by the otherness and enlightenment, is not disciplined, staying inside and outside of the text till the final mo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