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灌圃 朴弘美의 한시 연구 (A Study on the Chinese Poetry of Gwanpo Park Hong-m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03
37P 미리보기
灌圃 朴弘美의 한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4호 / 131 ~ 167페이지
    · 저자명 : 권혁명

    초록

    본고는 관포 박홍미의 생애와 시세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박홍미의 생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박홍미는 젊어서부터 뛰어난 文才를 지니고 있었다. 그가 당대 저명한 문장가들인 李植, 權韠, 任錪, 鄭弘溟과 이름을 나란히 했고, 원접사 종사관으로서 「淸江賦」를 지어 명나라에까지 문명을 떨쳤으며, 양양부사 때 지은 응지상소가 賈誼의 치안책에 비유되었던 점은 박홍미의 뛰어난 문재를 의미하는 것이다. 박홍미의 환로생활은 내외직을 두루 거치면서 대체로 무난했다고 할 수 있었다. 다만, 광해군대에는 중앙관직을 중심으로 文才에 비해 낮은 관직을 역임했고, 인조대에는 창원부사, 경주부윤, 삼척부사, 양양부사 등 지방관직을 중심으로 역임하였다. 광해군대에 낮는 관직을 맡은 것은 박홍미가 강직한 성품으로 直諫을 하여 북인정권으로부터 정치적으로 소외되었기 때문이며, 인조대에는 질병이 있어 중앙관직에 오래 머물 수 없었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박홍미의 시세계를 광해군대와 인조대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박홍미는 광해군대의 정치현실을 강자가 약자를 지배하는 弱肉强食, 매관매직이 성행하는 爛羊의 현실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박홍미는 不正의 현실 속에서도 자신의 소신을 지키며 광해군에게 直諫을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강직한 태도는 북인들로 하여금 박홍미를 鷄肋과 같은 존재로 받아들여지게 했고, 그 결과 낮은 관직을 전전하였다. 환로생활에 염증을 느낀 박홍미는 1622년 원접사 종사관의 임무를 마지막으로 귀거래 하였다. 박홍미가 인조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긍정적이었다. 그는 인조대를 태평성대로 인식하고 시종신이 되어 군주 옆에서 直諫을 통해 군주를 聖君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병으로 인해 지방관직을 전전하게 되었고 양양부사 때 얻은 병으로 인해 결국 관직에서 완전히 물러나게 되었다. 박홍미는 관직에서 물러난 후 瑞山에서 한가롭고 평화로운 삶을 詩化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Gwanpo Park Hong-mi.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life of Park Hong-mi. Park Hong-mi possessed exceptional literary talent from a young age. He was mentioned alongside prominent contemporary writers such as Lee Jik, Gwon Yun, Im Jeon, and Jeong Hong-myeong. His work, "Cheonggangbu," written during his tenure as a junior officer at Wonjeop Temple, was praised by the Ming Emperor as superior to the "Jeokbyeokbu," indicating Park Hong-mi's outstanding literary prowess. The fact that his work "Eungjisangso" written during his tenure as the magistrate of Yangyang County was likened to Jia Yi's strategies for maintaining stability underscores Park Hong-mi's remarkable literary achievements. Park Hong-mi's career was generally smooth as he held various government positions both domestically and externally. However, during the Gwanghae era, he mostly served in lower-ranking government positions despite his literary talent, which was due to his uncompromising nature not being recognized by the Northern government. During the Injo era, he mainly held provincial positions such as Changwon Busa, Gyeongju Buyun, Samcheok Busa, and Yangyang Busa due to his illness.
    Chapter 3 delved into Park Hongmi's poetic world, dividing it into the Gwanghae Army and the Injo Army. Park Hongmi perceived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Gwanghae Army negatively, seeing it as a system of the strong preying on the weak, where corruption and exploitation were rampant. However, despite this bleak reality, Park Hongmi remained steadfast in upholding his principles and did not hesitate to confront the Gwanghae regime. This uncompromising attitude led the northerners to view him as a burden, akin to a nuisance. In other words, he was considered too valuable to discard due to his literary talent, yet too burdensome to associate with. Having found himself in a position of hardship, Park Hongmi, as he drifted through low-ranking government positions, was burdened by financial difficulties. Eventually, he completed his duties as a junior officer at Wonjeop Temple and embarked on a return journey to Incheon. Park Hongmi's perspective on the Injo Army was remarkably positive. He perceived the Injo Army as a realm of tranquility and harbored a positive outlook on reality, aspiring to become a loyal subject of Injo, aiming to guide the king towards righteousness through his frank counsel, thus contributing to the betterment of the nation. However, due to illness, he was shuffled through various provincial appointments, and during his tenure as the magistrate of Yangyang County, he was afflicted by severe illness, leading him to withdraw completely from official duties. After retiring from his government post, he penned verses depicting a peaceful life in Seo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