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르실리오 피치노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 (The Meaning of Beauty in Marsilio Ficino’s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9.12
34P 미리보기
마르실리오 피치노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칸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칸트연구 / 24호 / 275 ~ 308페이지
    · 저자명 : 이순아

    초록

    이 논문의 의도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Marsilio Ficino, 1433-99)의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가 하나의 통일적인 근본사상으로 소생되어 있는 피치노의 사상은 미는 선의 광휘라는 플라톤주의적 성찰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르네상스 예술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인문주의와 <플라톤 아카데미>를 배경으로, 피치노는 ‘플라톤 신학’을 통해 플라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본질적인 일치를 증명하였다. 『플라톤 신학』의 부제는 영혼불멸성으로서, 영혼을 중심적 위치로 하는 우주론적 존재위계를 체계화하였다. 우주의 매개자로서의 인간영혼의 목표는 점진적인 내적 상승 즉 관조를 통한 신과의 합일이며, 이때 인간은 영혼불멸을 얻는다. 따라서 영혼불멸성은 인간의 존엄과 신성의 근거이다.
    피치노의 우주론과 관련하여, 미는 능동적으로 사랑을 베푸시는 신이 맨 먼저 천사들을 비추고 나서 인간의 영혼을 조명하고 마지막으로 물질세계를 밝혀주는 신의 자태의 광휘이다. 이러한 미의 본질적 특성이 현상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미의 또 다른 원리는 수적질서이다. 따라서 미는 ‘신성이 빛나는 비례’이며, 사랑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인간영혼의 상승의 동인이다.
    신적 선의 광휘로서의 미를 향유하려는 욕구인 사랑은 우주적 조화와 통일의 원리로서, 신적․예지적인 것과 감각적인 것을 매개한다. 사랑의 광기를 통하여 인간영혼은 신과 합일하고 지고한 행복과 영혼불멸을 얻는다. 바로 이것이 피치노의 ‘플라톤적 사랑’의 의미이다.
    이로써 피치노 사상의 궁극 목표인, 플라톤주의 전통으로부터 유래하는 인간영혼의 신에게로의 내적 상승이라는 관념을 전제로 하고, 그의 철학의 지축인 영혼불멸성 및 미와 사랑의 관계와 관련하여, 피치노에게 미는 인간영혼의 내적 상승의 동인이다. 즉 피치노의 ‘플라톤적 신학’에서 미 개념의 실제적 의미는, 바로 인간이 신적 선함이 반사된 아름다운 사물을 봄으로써 불러 일으켜져서 자기 자신을 성찰하게 되고 내적으로 아름다운 선한 존재로 변형되어 자신의 신성을 발견하게 된다는 데 있다.

    영어초록

    The inten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auty in the philosophy of the Italian Renaissance philosopher Marsilio Ficino(1433-99).
    In Ficino’s writings Plato and Plotinus are revived as a unified doctrine, and the Platonic reflection that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good is central. As such, Ficino’s thought had a vast influence on the culture and the arts of the Renaissance.
    With humanism and the Platonic Academy in the background, Ficino proved, through ‘Platonic theology,’ the essential unity between Platonic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The subtitle of Theologia Platonica i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is work, he systematized the cosmic hierarchy of being in which the soul occupies the central place. The goal of the human soul as the mediator of the universe is the gradual inner ascent, or unity with God through contemplation, and this is when man acquires an immortal soul. Accordingly, the immortal soul is the evidence of human dignity and divinity.
    In connection with Ficino’s cosmology,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divine countenance, in which the actively loving God first lights the angels, then illuminates the human souls, and lastly shines the material world. Another principle of beauty, as the precondition for the revelation of this beauty, is the mathematical order. Accordingly, beauty is the lucid proportion(lucida proportio), and it motivates the ascent of the human soul by arousing love.
    Love, which is the desire for enjoying beauty as the radiance of divine goodness, is the principle for cosmic harmony and unity; it mediates the divine and intelligible, and the sensible. Through love, the human soul becomes a union with God and acquires beatitude and immortality. This is the meaning of the “Platonic love,” espoused by Ficino.
    Thus, in terms of the ultimate goal of Ficino’s thought, which takes as its premise the notion of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o God from the Platonic tradition, and in connection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love, the two axes of his philosophy, beauty is the motive for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he real meaning of Ficino’s concept of beauty consist in the very fact that man is provoked by seeing the beautiful things which reflect the divine good so that he reflects on himself, transforms himself into the internally beautiful being, or Good itself, and finally finds his own divi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칸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