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美)’에 대한 연상 단어와 검색 이미지 분석 연구 (A Study on Associated Words with ‘Beauty(美)’ and Its Search Imag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4.02
10P 미리보기
‘미(美)’에 대한 연상 단어와 검색 이미지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미디어학 / 17권 / 1호 / 59 ~ 68페이지
    · 저자명 : 남궁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은 보편적으로 ‘미(美)’, 곧 ‘아름다움’하면 무엇을 상상하고 무엇을 연상하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인간이 생각하는 아름다움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풀어보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첫 번째 조사방법은 ‘미(美)’, 곧 ‘아름다움’하면 연상되는 단어, 상황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자에게 ‘미(美)’, 또는 ‘아름다움’하면 연상되는 단어와 상황 등을 자유롭게 50가지 기록하도록 하여 기록된 내용과 단어를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1차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단어를 정리하고 단어의 출현 빈도수에 따라 분류 한 후에 단어의 빈도수에 따라 순위를 정하였다. 이후 여러 분류 단계와 방법을 거쳐 공통되는 지칭이나 영역에 따라 영역별로 빈도수에 따라 분류하여 결과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미(美)’에 대한 연상은 신체, 자연, 여자, 색, 꽃, 사랑, 귀금속, 남자, 인간적 행동, 음악에 서 미(美)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조사연구 방법은 1차 설문 조사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고 세계인의 미(美)에 대한 보편적 인식도 동일한가에 대한 비교를 위해 이미지 검색을 활용하여 미(美)에 해당하는 단어를 언어권별로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힌디어, 아랍어, 태국어의 12개 언어로 이미지 검색을 하여 검색된 순위에 따라 100가지 이미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여자와 관련된 이미지가 대부분 이었으며 얼굴, 신체, 화장, 피부미용에 관련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었다. 꽃과 여인이 함께 등장하는 이미지가 많다는 것 또한 공통적 특징 이었다. 언어권별로도 모아놓은 이미지의 전체적인 색감, 등장 여인의 모습, 이미지의 구도와 소품들도 다른 차이점들을 알 수 있었다. 두 가지 연구조사 방법으로 얻은 결론은 미(美)에 대한 세계인들이 보편적인 연상 인식은 여인, 꽃, 풍경, 신체와 관련되어 있었다. 미(美)는 곧 여인과 얼굴, 피부, 몸으로 인식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차후 연구는 ‘미’개념의 범주와 영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what men universally imagine and associate regarding 'beauty(美)', i.e. 'gorgeousness'. As the research method to solve the question about what the beauty a man thinks of, first investigation method was a survey on the associated words and situation with 'beauty(美)', i.e. 'gorgeousness'. The researcher made those questioned record 50 kinds of the words, situation, etc. associated with 'beauty(美)' or 'gorgeousness' freely, analyzed the recorded content and words, and built a database. Firstly, the researcher arranged the words which commonly appeared in the database, and after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words, decided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After this, the researcher obtained the results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the frequency per area along with the common designation or area by going through several classification stages and methods. In conclusion, the association with ‘beauty(美)’ appeared in the awareness of beauty(美) in body, nature, female, color, flower, love, jewelry, man, humane behavior, music. Second investigation research method was to verify the result of the first survey research result and analyzed the extracted 100 images which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earched ranking by browsing images in 12 languages, e.g. Korean, Chinese, Japanese, English, French, Spanish, German, Italian, Russian, Hindi, Arabic, Thai language, with regard to the words which belong to beauty(美) by utilizing image browse to compare if the world citizen's universal awareness on beauty(美) is the same. In conclusion, most of the images were associated with female, mainly with face, body, makeup, skin care. Another common characteristic was lots of the images where women appear with flowers. Also, the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the overall color of the images collected per language, appearance of the woman of the images, composition of the images and props.
    The results obtained by the above two research investigation methods, the world citizen's universal associated awareness on beauty(美) was related to female, flower, landscape and body. In conclusion, beauty(美) is recognized as female, face, skin, and body. Henceforth, further research will be investigating the category and area of the concept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