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론 뮤익의 조각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미학 (Aesthetics of Life and Death in Sculpture of Ron Muec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2.02
15P 미리보기
론 뮤익의 조각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3권 / 1호 / 465 ~ 479페이지
    · 저자명 : 정연이

    초록

    론 뮤익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끊임없이 순환하는 인간의 삶을 깊이 통찰하는 조각가이다. 이 연구는 생성과 소멸, 순간과 영원, 현존과 부재에 대해 질문하는 론 뮤익의 조각에 나타난 삶과 죽음 주제의 미학적, 철학적,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방법으로 바니타스,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과 줄리아 크리스테바, 조르주 바타이유, 안드레아스 후이센의 논의를 참고하였다. 첫째, 론 뮤익의 조각은 탄생과 죽음을 언캐니한 방식으로 드러낸다. 언캐니(uncanny)는 프로이트가 확장 발전시킨 이론으로 억압된 것이 회귀할 때 발생하는 친숙하지만 낯선감정을 의미한다. 언캐니의 미적 전략은 관습적인 시각으로 놓치기 쉬운 사물을 새롭게 바라보게 하며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자유롭게 횡단함으로써 인식의 지평을 확장한다. 둘째, 론 뮤익은 삶과 죽음을순환하는 과정으로 받아들이며 공존하는 것으로 여긴다. 이러한 점은 이원론적 세계관을 해체하고 다양한 존재를 인정하며 공존의 담론을 이끌어 낸다. 셋째, 100개의 거대한 개별 인간 두개골로 이루어진 <덩어리>는 공동체적, 사회적 죽음을 보편적으로 시각화하며 예술에서 애도, 기억, 역사를 표현하는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바니타스 정물화의 단골 소재로 등장했던 해골은 일차적으로 죽음을 상징하지만 역설적으로 재생과 풍요를 이차적으로 상징하기도 한다. <덩어리>는 전시장 전체 공간을 조각적 대상으로 활용하며, 소리와 움직임을 통해 관람자의 사유를 이끌어낸다. 또한,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면서 지금 여기에 균열을 일으키며 조각의 시공간성을 확장시켜 조각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삶과 죽음의 관계를 숙고하고, 인간의 실존에 대해 사유하는 론 뮤익의 독창적인예술 세계를 입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Ron Mueck is the sculptor who penetrates profoundly the life of human circulating constantly from birth to death. This research aimed to consider the aesthetic, philosophical, social meanings of life and death theme in the sculpture of Ron Mueck asking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moment and immortality, and present and absent. As a theoretical method for the study, Vanitas, Sigmund Freud’s uncanny concept, Julia Kristeva, Georges Bataille, Andreas Hyssen’s argument were referred. First, the sculpture of Ron Mueck reveals the birth and death as uncanny method.
    Uncanny that extended and developed by Freud means the familiar but strange emotion that occurs when the repressed returned. The concept of uncanny within Ron Mueck’ sculpture represents through the visual methodology of defamiliarization which occurs through expansion and reduction of object’s scale. The aesthetic strategy of uncanny contemplates newly objects that can be easily missed with a customary vision and extends an area of perception by freely traversing border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econd, Ron Mueck accepts the life and death which circulate and coexist. This dismantles dualistic world view and recognizes various existence and leads the discourse of coexistence. Third, the <Mass> which is composed of huge 100 individual human skulls visualizes generally a communal, social death and presents the aesthetic possibility which expresses the mourning, memory, history, in art. The skull which appeared the regular material of the vanitas still-life painting symbolizes the death primarily, but paradoxically, reproduction and abundance secondary. The <Mass> utilizes a whole space of exhibition as a sculptural object and brings out the thinking of viewer through sound and movement. and it makes a fissure here and now intersecting past and today and presents the new paradigm of sculpture by expanding the space and time of sculpture. This study viewed three dimensionally the creative art world and the aesthetic effect of work of Ron Mueck pon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inking the existence of hu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