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동심원암각화의 상징-물과 관련하여 (The Symbols of Korean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in Relation to Water)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1.12
44P 미리보기
한국 동심원암각화의 상징-물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26호 / 149 ~ 192페이지
    · 저자명 : 이하우

    초록

    한국 암각화의 표현물 중에는 여러 점의 동심원암각화가 있다. 동심원암각화에 대한 인식은 이것이 태양상징으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필자는 대구 천내리의 한 고인돌에서 새로운 암각화를 조사하면서, 이 조사를 계기로 그간 학계에 수용되어 온 동심원암각화가 태양상징이라는 설에 대하여 재검토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동심원암각화의 성격을 밝혀보고자 한다.
    이미 잘 알려진 동심원암각화 외에 근래에 와서 새롭게 조사된 자료도 여러 점 있다. 증가된 자료를 바탕으로 필자는 동심원암각화가 제작된 바위의 조건과 방위, 동심원이 바라보고 있는 전방의 입지조건, 그리고 문양의 성립과 같은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동심원암각화는 태양보다는 물과 관계가 깊다는 여러 현상을 발견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필자는 동심원암각화를 물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보고자 한다.
    대구 진천동과 같은 입석이나 일부 고인돌이 제의장소의 기능이 있다는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볼 때, 몇몇 고인돌은 공동체 사회의 집단적 제의장소로서 활용되었을 것이다. 동심원암각화가 새겨진 고인돌도 같은 기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고인돌에서 제의형태는 우선 거석숭배나 조상숭배와 같은 방식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외에 가뭄과 같은 재해를 피하고자 물 또는 비의 상징물로 동심원암각화를 새겨놓고 기우제와 같은 의례가 수행된 것이 아닐까 한다.

    영어초록

    Since several figures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 have been found in the remains of petroglyphs in Korea, reserchers have long considered them a symbol of the Sun. We have studied for a while, however, with the idea that they may indicate some other objects. Recently examining petroglyphs in Chunnae-ri(Daegu), we suggest a critical reexamination of the established hypothesis in order to re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igures.
    There were a lot of recently found and examined remains of Korean petroglyphs such as petroglyphs in Jincheon-dong(Daegu), Anin-ri(Milyang), Jicho-ri(Musan, North Korea), not mentioning some well-known ones in Cheonjeon-ri(Woolsan), Yangjeon-dong(Goryung) and Dohang-ri(Haman). In addition to it, more recently, the remains in Chunnae-ri were now also being studied, their figures in concentric circles. With this increased number of data now we had, the method applied to our serious analyctic works was based on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rocks and the conditions of their location, including what the front area that these figures were directly facing forward was like. Following this method, we could more count on menhirs and dolmens than natural rocks in order to draw better results. For menhirs and dolmens, a maker can choose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ir works more freely. Therefore, these samples show better the intentions of the maker. Thus we put more minute efforts on the observation about them.
    For the matter of directions, we studied first, they all showed inconsistency. Each rock on which these concentric circles were engraved was towards each different direction. This fact opposed the idea that these figures referred the sun, for symbols of the Sun were usually made in a certain range of north-eastern directions. We found, on the contrary, that where these concentric circles were directly facing are always the waters, rivers etc. For this discovery went with all the examples we studied,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se circles are more related to water than the sun.
    Plus, considering that some menhirs and dolmens such as the ones in Jincheon(Daegu), had been regarded for religious ritual and ceremony, we thought it was even more probable that dolmens in Chunnae-ri, Anin-ri, Dohang-ri might had been for the same usage. Their locations were very likely to have been a religious cite for people in collective society. For many typical Korean ancient societies which were mostly dependant on farming since the Bronze Age, irrigation was crucial problem. We think, therefore, besides admiration of giant stones and ancestors, there might have been largely practiced way of religious ritual for rain in order to overcome droughts. All in all, we suggest that the concentric circle figures found in Korean petroglyphs are basically a symbol of water, used for religious rituals, most likely for r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