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물의 법인격: ‘생태법인’ 연구 (Legal personhood of Natural Objects: A Study of Eco Legal Pers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3.10
32P 미리보기
자연물의 법인격: ‘생태법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과 정책 / 31권 / 3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박태현

    초록

    특정 생태계에 법인격을 부여하거나 전체 자연 또는 특정 종을 권리주체로 인정하는 법체계는 전 세계에 걸쳐 존재한다. 이는 자연의 권리를 인정하는 범세계적 흐름으로 자연의 권리 인정은 “의사결정에서 자연을 독립한 이해당사자로 인정하고, 자연의 이익과 권리를 대표할 후견체제를 마련”하는 의의를 갖는다.
    현행법체계에서 사람의 조직체나 재산의 집합체에“법인격(=권리능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법인을 “법인격(=법률에 따른 권리능력)을 갖는 비인간 실체”로 간단히 정의한다. 이 정의에 따르면 법인(제도)를 통해 비인간적 실체, 가령 동물이나 인공지능(AI), 또는 자연물(특정 생태계나 종 등)에도 특정 목적을 위하여 법인격을 부여할 수 있고 그 목적 범위에서 해당 실체는 권리능력을 갖는다. 이 중 자연물에 법인격이 부여된 경우를 생태법인(eco legal person)이라 부른다. 생태법인 용어를 주조한 진희종에 따르면 생태법인은 “미래세대는 물론 인간 이외의 존재들 가운데 생태적 가치가 중요한 대상에 대하여 법적 권리를 갖게 하는 제도”다.
    모든 생명은 존속과 번영이라는 본래 목적성(“본래 목적성”)과 이를 위하여 일정 행위를 수행할 능력(“행위수행력”)을 갖는다는 점에서 인간 존재와 마찬가지로 본래 가치를 지닌 “주체”로 보아야 한다. 권리는 더 이상 인간 존재의 보호에 배타적으로 사용되는 법적 장치일 수 없다.
    이 글에서 생태법인을 활용하여 제주 남방큰돌고래에 권리능력 곧 법인격을 부여하는 방안을 구상하였다. 생태법인을 통해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온전한 삶의 유지를 위한 법적 권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남방큰돌고래의 권리의 실질적 보장은 결국 핵심 서식지의 보장과 함께 궁극적으로 건강한 해양생태계에 의존하므로 생태법인으로서 존재 지위의 설정은 해양생태계의 보호를 위한 입법·행정·사법상의 조치를 정당화하는 타당한 이유가 될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현세대뿐 아니라 미래세대의 건강과 안녕으로 귀결되고 궁극적으로 자연을 인간의 이용 대상이 아니라 상호의존하고 상호연결된 인간과 비인간 주체들의 집합으로 바라보게 할 것이다.

    영어초록

    Legal recognition of nature or some part of the natural world as having legal personality can be seen emerging in various doctrines and developments around the world. This is among worldwide trend of acknowledging the Rights of Nature(RoN), and the recognition of RoN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To recognize nature as an independent stakeholder in decision-making and to establish a guardianship system to represent the interests and rights of Nature."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 "legal personhood" is given to a person's organization or collection of property. I simply define a legal person as a "non-human entity with a legal personhood".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legal person (as a legal institution) can give legal personhood to non-human entities, such as animals, artificial intelligence (AI), or natural objects (such as specific ecosystems or species), for specific purposes. As a result, the entity has capabilities of having rights. Among them, the case where a legal personhood is granted to natural objects is referred to as an “Eco Legal Person”(ELP). According to Jin Hee-jong, who cast the term "ELP," the ELP is a legal system that gives legal rights to objects whose ecological values are critical for future generations as well as non-human beings.
    Rights can no longer be legal devices exclusively used for the protection of human existence and should be available for all forms of life protection. In this article, a plan was devised to give Jeju southern bottlenose dolphins rights, or legal personality, using ecological corporations. The ecological corporation can guarantee the legal right to maintain the full life of Jeju southern dolphins.
    The practical guarantee of the rights of the southern bottlenose dolphin ultimately relies on a healthy marine ecosystem, along with the guarantee of a critical habitat. The establishment of the legal status as an ELP will be a valid reason to justify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measures to protect and conserve the marine ecosystem. This leads to an assurance of the health and well-being of not only the present generation but also the future generation in the long run. And ultimately, nature will be viewed not as an object of human use but is composed of interdependent and interconnected human and non-human subj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과 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