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5기 黃組 갑골문에 기록된 商族과 東夷 관련 텍스트의 상관성 분석 1) - ‘天邑商’과 ‘征夷’ 텍스트를 키워드로 -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Shang(商) and Dongyi(東夷), based o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of the 5th Period Huangzu(黃組))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8.02
28P 미리보기
제5기 黃組 갑골문에 기록된 商族과 東夷 관련 텍스트의 상관성 분석 1) - ‘天邑商’과 ‘征夷’ 텍스트를 키워드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언어연구 / 74호 / 149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경일

    초록

    본 논문의 기술 목적은 제5기 黃組 갑골문에서 찾아낸 商族과 東夷 세력과의 충돌과 관련 한 내용들을 ‘天邑商’과 ‘征夷’ 텍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하려는 데 있다. 특히 이들 텍스트를 중국 중심의 역사관을 가진 학자들이 商의 東夷에 대한 일방적인 전쟁 승리 기록물로 보는 태도에 담긴 오류를 객관적 분석을 통해 바로잡으려는 데 기술 목적이 있다. 논문에서 특별히 제5기 黃組를 대상으로 한 것은 이 부분에 ‘天邑商’이라고 하는 이전에 등장하지 않았던 어휘 조합과 東夷와의 충돌만을 의미하기 위해 형성된 어휘 조합 ‘征夷’가 나타나고 있어 연계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갑골문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새로운 역사적, 문화적 진실을 읽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진실을 근거로 고대문헌 속의 ‘紂克東夷’의 내용을 새롭게 읽어낼 수도 있다. 즉, 商은 東夷의 커다란 위협에 직면했었고 국면 타개를 위해 주술적 조치로는 ‘天邑商’을 물리적 조치로는 ‘征夷’ 행동을 진행했다는 점이다. 물론 ‘征夷’ 행동 속에도 ‘從囗(國의 初文)從止’의 ‘正’ 글꼴을 통해 정치종교적 기원은 담겨 있었다. 그리고 이들 기록 어디에서도 商의 최종승리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했다. 사실, 중국의 갑골학자들 중 일부가 자기중심적으로 기술된 역사서 쓰기의 연장선에서 사용된 ‘克’의 동사를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들이고 제5기 갑골문 ‘征夷’ 텍스트를 읽었기에 ‘最終勝利’의 판결을 아무런 근거 없이도 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은 商의 帝辛, 즉 紂가 정치종교적 레토릭으로 ‘天邑商’과 ‘征’을 도입했던 과정과 닮아 있다고 하겠다. 중국중심의 史觀이 일관되게 반복되고 있음이 여기서 다시 확인된다.

    영어초록

    Central to this paper is a hypothesis which states that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Shang(商) and Dongyi(東夷), not a one-sided victory over Dongyi(東夷) as Chinese scholars claim to be. Based o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of the 5th Period Huangzu(黃組), there are about sixty more texts of war stories between Shang(商) and Dongyi(東夷) written by Shang(商) archives. The archives use the word ‘zheng(正), conquer’, as they wish for a victory. The Chinese scholars interpret the word ‘zheng(正)’ as victory, but it was a word of wishfulness, not the outcome of the war. This paper also focuses on a word combination Tianyishang(天邑商), the Shang city of heaven which appears only once during the whole Shang Dynasty. The sudden appearance of Tianyishang(天邑商) indicates that Tianyishang(天邑商) faced a big threat from the Dongyi(東夷), and wanted to protect their capital city with the divine power of heaven.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Dongyi(東夷) occupied the territory of Shang(商) and also threatened the capital city, that was the reason why Shang(商) continuously tried to attack the Dongyi(東夷). Oracle-Bone Inscriptions of the 5th Period Huangzu(黃組) plainly states that there was an absence of Shang(商)’s final victory over Dongyi(東夷).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언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