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鹿門 任聖周 “聖凡心同”설 芻議 ―“理氣同實”을 기반으로 도덕을 성취하는 체계― (A Humble Discussion on Nokmun Yim Seong-Ju’s “Oneness of Sage and Ordinary person’s Mind(聖凡心同)”)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2
32P 미리보기
鹿門 任聖周 “聖凡心同”설 芻議 ―“理氣同實”을 기반으로 도덕을 성취하는 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69권 / 1 ~ 32페이지
    · 저자명 : 안재호

    초록

    녹문의 성리학 체계는 신유학의 맥락에서 유학의 이상을 체현하려는 시도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주자를 존숭했고, 자신을 주자학자로 자부했다. 그러나 그는 “리기동실” “심성일치”를 제기하고, “인물성상이”를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주자학의 근본 명제와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 것이다. 녹문이 보기에, 리는 기와 동등한 지위를 가질 수 없다. 실체는 오직 기이다. 리는 단지 기의 “스스로 그러함”을 설명할 뿐이어서 존재론적인 실체나 실제 존재일 수 없다. 녹문은 주자와 달리 기일원론을 제기했다. 다른 한편, 녹문은 맹자와 정호의 성 개념에 착안하여 사람과 사물의 본성을 구분하는 이론을 제기했다. 이를 통해 사람의 본성이 선이며 그래서 존엄한 존재임을 드러냈다. 마찬가지로, 실제 사람들의 기질은 각각 다르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일한 본성과 본심을 지닌다. 녹문은 기의 “담일”을 통해 미발심체가 순선하다는 근거를 확보한다. 이에 근거하여 그는 “복기초”라는 공부를 건립하고 도덕 실천의 경로를 전개한다. 녹문이 “리기동실” “심성일치”와 “인물성상이” 및 “성범심동”을 주장한 의미는 기 본체를 중심으로 리기 및 심성 개념을 해석하여 유학의 근본정신이 어디에 있고 그것이 추구하는 이상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영어초록

    Nokmun’s theory of Confucianism is aimed to figure out the ideal of Confucianism in the context of Neo-Confucianism. Nokmun highly respected Zhuzi and regarded himself as a scholar of Zhuzixue. However, Nokmun argues that “Both Li and Qi are entities(YiGiDongSil, 理氣同實), Mind and Nature are oneness(SimSeongIlChi, 心性一致)” and claims “Theory of Differences between Human nature and nature of Things(InMulSeongSangYi, 人物性相異)”, these are distinguished from fundamental propositions of Zhuzixue. In Nokmun’s view, Qi cannot be the same as Li, because the substance is only Qi, and Li is the Qi’s nature(自然). Therefore, it cannot be an ontological substance or entity. In a word, he insisted on Qi-monism, unlike Zhuzi. Besides, Nokmun showed a theory that distinguishes human nature from nature of things based on Mencius and Cheng Mingdao’s concept of “nature(性)”. His theory reveals human goodness and dignity. Nokmun also argues that despite differences in human disposition, everyone has the same nature and inherent mind. Through clearness and oneness of Qi, he secured the basis for purity and goodness of mind when it is not revealed yet. On this theoretical basis, Nokmun suggests a “recovering original(復其初)” as cultivation, which is how human beings can accomplish moral practice. Nokmun’s arguments of YiGiDongSil, SimSeongIlChi, InMul- SeongSangYi, SeongBeomSimDong(聖凡心同) have great philosophical significance in trying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Li and Qi, mind and nature, and indicate the fundamental spirit and the ideal state of 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