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勝彬의 文法書에서 바라본 韓國語와 日本語의 文法 –品詞論을 中心으로 – (Korean and Japanese Grammar fromPark Seung-bin’s Grammar Books –With a Focus on the Theory of Word Clas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3
27P 미리보기
朴勝彬의 文法書에서 바라본 韓國語와 日本語의 文法 –品詞論을 中心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3권 / 1호 / 41 ~ 67페이지
    · 저자명 : 김주상

    초록

    본고는 박승빈의 1930년대 문법서의 품사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을 비교하였다. 먼저 용언의 분류에서 박승빈은 한국어 용언을 동사, 형용사, 존재사, 지정사 4종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일본어 용언은 존재사가 동사에 편입되고, 지정사는 조동사의 단어들이 담당하여, 동사와 형용사 2종으로 파악하였다. 형용사의 경우는 한국어나 일본어 모두 be 동사 없이 직접 서술어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일본어의 형용사가 그 자체로 서술 기능과 체언 수식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음에 비해, 한국어 형용사는 그 자체로는 체언을 수식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자체로 체언을 수식할 수 있는 단어들을 관형사로 설정하였다. 또한, 접속사는 한국어 고유의 접속 방법에서 조사를 통하여 단어나 구, 절 등을 접속하는 것이 자연스러웠기 때문에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었는데 한문식이나. 외국어 문법이 수용되어 접속사를 설정해야 하는 상황이 왔으나, 결국 한국어 문장 구조에는 접속사가 적절하지 않음을 비판하였다. 마지막으로 박승빈은 조사를 체언조사, 용언조사, 별동조사로 나누고, 조용사는 일본어 조동사에 비해 시상, 태, 존경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Korean and Japanese grammar, focusing on the word class theory in Park Seung-bin’s 1930s grammar book. In the classification of predicates, Park identified Korean predicates as four types of verbs, adjectives, existential predicates, and copula, whereas in the case of Japanese, the existential predicat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verbs, and the copula were in charge of the words of the auxiliary verbs, so Japanese terms were identified as two types of verbs and adjectives. In this regard, even in the Japanese grammar books of the same period, it was found that “ある”, which is generally the existential predicates of Park Seung-bin, was included in the verb and “なし” was included in the adjective. In the case of Yamada(1922/1926), “ある” was set as the existential predicates to classify the predicates into three types: verb, adjective, and existential predicates. In addition, Park said that there are “이스[is]” and “업스[eops]” in the Korean existential predicates, but it was shown that in Japanese, these two words and the meaningfully corresponding “ある” and “なし” cannot be grouped into one word class due to a difference in their conjug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pula, it was argued that only one “이[i]” exists in Korean and there is no copula in Japanese. The reason is Japanese “だ”, “なり”, and “です” cannot be predicates, and because they are auxiliary verbs rather than predicates, it is not in line with the universal principle of language to exist without predicates in sentences. In the case of adjectives, both Korean and Japanese can have direct predicates that are not verbs, but while Japanese adjectives have both predicating and modifying functions in themselves, Korean adjectives cannot modify substantives by themselves, so words that can modify substantives by themselves were set as Gwan-hyeong-sa(adnominals). This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언” set by Ju Si-kyung and inherited by his disciples. Also, considering Korean’s unique access method, it is natural for conjunctions to connect words, phrases, and clauses through Josa(postpositions), so there was no need to set up conjunctions specially. However,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hinese, English, and Japanese systems of making sentences, a situation in which conjunctions had to be set arrived, but Park Seung-bin criticized that the conjunctions did not fit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Finally, Park devided Josa(postpositions) into a Che-eon-josa(postpositions for substantives), a Yong-eon-josa(postpositions for predicates), and a Byeol-dong-josa(special postpositions). In Hashimoto(1933/1934: 12-14), he found a part similar to Japanese postposions divided into first to third type, and emphasized Korean Joyongsa has characteristics of tense-aspect, voice, and honor comparable to Japanese auxiliary ver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