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양반 사족의 貢納制 참여 방식 -李文健의 『黙齋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bleman’s Tributary System Participation Method and Prefectures in the 16th Century-Focusing on 「Mukjaeilgi」 of Lee Mun-Ge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03
34P 미리보기
16세기 양반 사족의 貢納制 참여 방식 -李文健의 『黙齋日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5호 / 73 ~ 106페이지
    · 저자명 : 이성임

    초록

    본 논문은 이문건의 묵재일기를 자료로 성주지역의 공납제 운영의실상에 대하여 살펴 본 것이다. 공물은 민호가 공납하는 토산의 현물로서호를 대상으로 부과하였다. 성주에는 관비와 민비의 다양한 종류의 공물이 존재하였는데, 이들 공물은 수취방식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水紬는 상주지역의 공물 중에 상당히 비중이 큰 것이었다. 수주는 水禾紬라고도 하는데 이는 최상의 비단을 의미한다. 성주는 양잠으로 잘 알려진 지역으로 수주를 생산하여 옷을 만들 뿐만 아니라 공물로 지방군현에 납부하였다. 이들 명주는 은어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민호에게 부과되던 공물이었다. 즉, 민호는 명주를 직접 생산하여 공물로 바치거나, 아니면 쌀․태․면포로 명주가를 대신 납부하였다. 일반적으로 본색으로 납부하지 않고 현물로 거두는 방식을 私大同이라 한다. 성주지역의 공물 중에서 수주․삼베․목면 등이 사대동의 방식으로 수취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대동은 16세기 중반 성주지역에서 보편적인 방식으로 등장하였다.
    水紬는 단일 품목이지만 本色과 私大同이 혼합된 방식으로 수취되었다. 이는 원칙적으로 本色으로 납부해야 하지만, 여의치 못하면 주가를거두어 貿納․防納하기도 하였다. 즉 이는 紬價를 租․太․綿布등의 현물로 거둬들이는 방식이었다. 수주의 수취는 단순한 것 같지만 실제는 매우 복잡하여 과정상에 많은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반영되었다.
    수주는 좋은 품질을 담보하기 어려운 품목이었다. 각각의 민호에서양잠을 통하여 생산하게 되므로 품질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성주관아에서도 수취한 수주를 중앙으로 올려야 하므로 點退를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유지에 심혈을 기울였다. 본색으로 납부할 경우 성주의 유력한 양반들도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므로 성주의 민호 중에 서울에서 고가의 수주를매입하여 납부한 사례도 있었다. 방납은 생산이 되지 않거나 구하기 어려운 품목을 대신 납부하고 민호에게 그 가격을 받는 것이다. 물품의 대납은 성주에 있는 京商人이 담당하였다. 이들은 지방관아에 물품을 납부함으로서 이윤을 추구하던 자들로 국가의 부세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있었다. 결국 지방관아에서는 수주는 품질문제를 담보하기 어렵게 되자本色납부보다는 私大同의 방식을 선호하게 되었다. 지방관아의 입장에서는 수주가를 거둬 상납하는 것이 일의 부담도 적은 손쉬운 방법이었다.
    양반사족은 사대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많은 혜택을 보았다. 즉,이들은 관아로부터 일정한 역할을 위임 받아 적지 않은 경제적인 혜택을 보았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영향력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들 양반 사족은 공물을 납부하지 않는 민호를 대상으로 독촉하고 잡아가두는가 하면 소장을 제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대동의 일정이 끝나면 성주목으로부터 일정한 이익을 취하였다. 양반 사족이 공납제 운영에 가담하는 데에는 이들과 지방관과의 친분이 주효하게 작용하였다. 즉, 지방관과 친분이 강할수록 적극적으로 가담하였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배제될 수 밖에없었다. 결국 지방관과의 관계가 소원해질 경우 관권과 결탁하여 행하던모든 일에 타격이 가해졌으며, 이는 공납제 참여과정에서도 그대로 드러났다. 이러한 까닭에 이문건은 지방관들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래야만 성주지역의 實勢로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의 민호들도 이문건이 성주지역에서 갖는 정치적 위상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들은 이문건을 찾아와 자신의 어려운 점을 토로하고 개인적인 청탁을 넣어 문제를 해결하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researched the tributary system operation of Seongju area on the basis of Mukjaeilgi of Lee Mun-Geon. The study could grasp actual status of bonsaek payment and bangnap,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tributary system operation and specific status of sadaedong. Therefore, the study summarized entire context and suggested problem to replace conclusion with them.
    Suju called suhwaju was the best silk. Seongju was famous for sericulture.
    The area produced suju to manufacture clothe and pay it to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as a tribute. Like sweet fish, silk was the tribute that was imposed to each household. In other words, each household produced silk and paid it as a tribute or paid rice, bean or cotton cloth instead of silk. Generally, collection of spots instead of payment of bonsaek was called sadaedong. Out of tributes of Seongju area, suju, hemp cloth or cotton were collected through sadaedong method. The sadaedong was very universal method in Seongju area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lthough hemp cloth or cotton cloth were collected through sadaedong method, suju was most popular.
    Although suju was a single product, it was collected through the method combining bonsaek and sadaedong. It was a principle to pay bonsaek but if it was not available, munap or bangnap was used. In addition, the spots such as barn grass, bean and cotton cloth were collected through sadaedong. Although it seems that collection of suju was simple, it was complex actually so interests of many people were reflected to process.
    Suju was the item to guarantee good quality. Each household manufactured it through sericulture so its qualities were very different. Seongju governmental office should send collected suju to central government so it paid attention to quality maintenance to prevent gradual decay. In case of bonsaek payment,influential noblemen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Some household of Seongju purchased suju at high price to pay it as a tribute. Bangnap was the system to pay the item that is not manufactured or hard to acquire on behalf of household and receive the cost from household. Seongju Gyeongsangins were responsible for the proxy payment of item. They were the people who searched for profit by paying products to local governmental office. They were closely related with country's tax structure. After all, it was hard to guarantee quality of suju so rather than bonsaek payment, sadaedong was preferred. It was more comfortable for local governmental office to collect and pay suju costs because it can decrease burdens of work.
    Noblemen could enjoy many benefits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sadaedong.
    They enjoyed economic benefit and displayed social influence by receiving certain roles from local governmental office. The noblemen could urge, imprison and accuse the household that did not pay a tribute. In addition, after the schedule of sadaedong, the shared profit with head of Seongju. Noblemen could participate in tributary system operation because of the friendship with local governmental office. In other words, when they had favorable friendships with local governmental office,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operation actively but when they didn’t have, they were excluded. After all, if they did not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local governmental office, all works that had been performed in collusion with governmental authority were damaged. It was also applied to tributary system participation process. Because of these reasons, Lee Mun-Geon tri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local governmental officials.
    In this way, he could display the ability of influential person in Seongju area.
    Households could recognize political status of Lee Mun-Geon in Seongju area at that time. Therefore, they visited Lee Mun-Geon to discuss their difficulties and solve problem through personal requ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