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음에 대한 체원(體元)의 이해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중심으로- (Chewon's UndeChewon's Understanding of Avalokitesvara : With a Focus on His Baekhwadoryangbalwonmun Yakhaerstanding of Avalokitesvara : With a Focus on His Baekhwadoryangbalwonmun Yakha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12
32P 미리보기
관음에 대한 체원(體元)의 이해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22권 / 239 ~ 270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체원은 고려 후기 화엄교단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승려로 신라 의상(義相)의 「백화도량발원문」이 그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간략한 해석이라는 뜻의 『약해(略解)』는 「백화도량발원문」의 주석서로 체원의 해설을 통해 의상의 관음신앙을 살펴볼 수 있으며, 체원이 어떻게 이해하고 풀어내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발원문에 대한 체원의 이해에도 접근할 수 있다. 『약해』는 총 20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서론과 본론으로 나눌 수 있다. 체원은 서론에서는 최치원의 「의상본전(義相本傳)」을 인용하여 의상의 전기(傳記)를 소개하였고, 본론에서는 「백화도량발원문」이라는 제목과 본문을 해설하였다. 이 글에서는 제목과 본문에서 귀의에 해당하는 발원문의 앞부분을 살펴볼 것이다. 발원문에서는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세음보살의 주처(住處)인 ‘백화도량’을 발원자가 귀의하는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의상(義相)은 관음(觀音)의 대원경지와(大圓鏡智)와 제자의 성정본각(性靜本覺)을 먼저 관(觀)함으로써 성인과 범부가 비록 의보(依報)와 정보(正報)는 같지 않지만 하나의 대원경(大圓鏡)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때의 관(觀)은 관하는 주체의 지혜로서 망상과 집착을 여의고 허공과 같이 청정하여 걸림이 없는 경지로 ‘지(止)’의 실천을 포함한 지혜이다. 이러한 진관(眞觀)으로 관(觀)하면 관음의 대원경지와 제자의 성정본각은 성기법성(性起法性)이어서 서로 통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승[관음]과 제자[의상]는 각자의 자리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융섭하여 하나가 되므로 귀의의 대상과 귀의의 주체라고 할 것도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체원이 바라본 관음은 백화도량에서 머물며 대비행 법문을 설해 중생을 구제하고 보살도를 행하는 분이 아니다. 발원을 하는 범부인 제자 또한 관음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영어초록

    Chewon was a Buddhist priest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Avatamska order during the second half of Goryeo. His Baekhwadoryangbalwonmun Yakhae made Baekhwadoryangbalwonmun by Uisang of Silla known to the world. Meaning a brief interpretation, Yakhae is an annotation book for Baekhwadoryangbalwonmun and offers a chance to examine Uisang's Avalokitesvara belief through Chewon's commentaries. The book also helps readers approach Chewon's understanding of Baekhwadoryangbalwonmun by examining how he understood and unraveled it. His Yakhae consists of a total of 20 chapters and can be mostly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and main body. In the introduction, Chewon introduced Uisang's biography by quoting Choi Chiwon's Uisangbonjeon. In the main body, he offered his commentaries about the title and body of Baekhwadoryangbalwonmun. This study examines the front part of Baekhwadoryangbalwonmun, which corresponds to the devotion in the title and body. As the title indicates, Baekhwadoryangbalwonmun presents "Baekhwadoryang," the main residenc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s the object that the prayer is devoted to. By first looking into Avalokitesvara's Daewongyeongji and his pupil's Seongjeongbongak, Uisang states that even though a saint and an ordinary person share no same Uibo and Jeongbo, they remain within the single Daewongyeong. His viewpoint represents the wisdom of the subject who looks into them. The wisdom includes the practice of "Ji" at the stage of discarding delusions and obsessions, being clear like the air, and having no obstacles. When one looks in this true outlook, Avalokitesvara's Daewongyeongji and his pupil's Seongjeongbongak understand each other since they are both Seonggibeopseong. As a consequence, the master (Avalokitesvara) and his pupil (Uisang) achieve Yungseop and become one without even leaving their respective places, which eliminates any distinc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subject of devotion. In conclusion, the examination of Avalokitesvara by Chewon was not to save people but to perform the path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by staying at Baekhwadoryang and explaining Buddhist writings. His pupil, who is an ordinary person to do Balwon, is no different from Avalokitesva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