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 - 울릉도 수토 연구의 회고와 전망 -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uto Record on the Late Joseon Period -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of the Ulreungdo Suto Study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8
42P 미리보기
조선후기 수토기록의 문헌사적 연구 - 울릉도 수토 연구의 회고와 전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1호 / 95 ~ 136페이지
    · 저자명 : 손승철

    초록

    鬱陵島 搜討에 대한 연구는 1998년, 송병기에 의해 시작된 이래 김호동, 심현용, 유미림, 손승철, 배재홍, 백인기, 김기혁 등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 글은 이들 연구를 종합하여 수토사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전망 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한다.
    울릉도 수토는 1694년 8월, 최세철의 예비조사에 의해 시작된 이후, 1894년 종료될 때까지 200년간 지속되었다. 기존의 연구자 모두가 3년에한번 씩 제도화 한 것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수토사의 派遣次 數와 週期性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다. 또한 搜討官의 임명과 파견절차에 대해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의 輪回搜討는 인정하나, 윤회수토의 실상이나 이유, 그리고 출항지와 귀항지, 또한 이들 지역의 현재 위치등에 대한 검증이나 고고학적 조사는 거의 되어 있지 않다.
    수토사의 편성과 역할 등에 대해서도 지역주민의 기여도와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搜討記錄를 통해 볼 때, 수토사의 역할이 倭人探索, 地 勢把握, 土産物進上, 人蔘採取 등에 있었음을 염두에 두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도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출항에서부터 귀항까지의 여정과 경로에 대해서도 심층 분석이 필요하다. 수토기간도 일정치 않고, 수토지역에 대한 실측 및 고증도 필요하다. 그리고 수토사들이 울릉도의 어느 지역에서 무엇을 했는지, 현재의 울릉도 지형・지세를 바탕으로 조사와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울릉도의 일주도로, 항만, 비행장 건설이 본격화되기 이전, 울릉도의 고고, 역사와 지리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계획이 수립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수토관련 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수집과 편찬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토관련 자료로는 수토사실을 기록한 各種 史書 등 古文 書, 搜討記, 刻石文, 地圖 및 圖形, 山水畵, 待風軒 史料 등이 있다. 물론 새로운 자료 발굴도 계속되어야 하며, 군사, 지리, 민속, 해양, 해류 등학제간의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의 ‘鬱陵島 搜討使’ 파견이야말로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영토라는 명백한 증거의 하나이다. 조선시대, 조선정부와 지역민이 울릉도와독도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가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체계적이고종합적이며,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study of Byungki Song in 1998, studies on Ulreungdo Suto(搜討) have been carried out by Hodong Kim, Hyunyong Shim, Mirim Yoo, Seungcheol Sohn, Jaehong Bae, Inki Baek and Kihyuk Ki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Suto history, its problems, further research direction and prospects.
    Studies on Ulreungdo Suto which was begun by the preliminary survey of Secheol Choi in August 1694 lasted over 200 years until its completion in 1894. There is no objection among researchers that it was carried out every 3 years.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on the number of dispatch and its cycle. As for the appointment of Sutogwan and dispatch procedure, while Yunhoi Suto(輪回搜討) of Wolsongmanho was acknowledged, the reality and reason of Yunhoi Suto, departure and destination and current location have not been verified or examined archaeologically.
    The composition and role of Sutosa must be studied together with the contribution of the local residents. Considering the Suto records, the role of Sutosa(搜討使) included the exploration of Japanese, inspection of topography, donation of indigenous products and collection of ginseng. With those roles in mind, specific roles must be figured out.
    And, in-depth analysis on the itinerary and route from departure from port to return to port is required. Suto period was not fixed, and actual survey and verification on the Suto area are required. Together, the performance of Sutosa in a specific area of Ulreungdo must be studied based on the current topography and geography of Ulreungdo. The survey plan on archaeology, history and geography of Ulreungdo before the extensive construction of the coastal road, port and airport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Most of all, comprehensive collection and edition on Suto related resources must be done. Resources related to Suto included old documents such as deeds recording Suto, Sutogi(搜討記), Gakseokmun(刻石文), map, figure, landscape painting and Daepungheon(待風軒) resources. Of course, new resources need to be developed continually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with military, geography, folklore, marine and ocean current need to be done.
    The dispatch of ‘Ulreungdo Sutosa’ at the late Joseon period is one of the clear evidence that Ulreungdo and Dokdo are Korean territor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systematic, comprehensive and in-depth studies on historical facts demonstrating the management of Ulreungdo and Dokdo by the Joseon Government and local residents in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