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A Review of the Introduction to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in Sill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12
38P 미리보기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9호 / 321 ~ 358페이지
    · 저자명 : 곽뢰

    초록

    문수신앙, 오대산문수신앙은 각각 대승불교의 보살사상, 『화엄경』에 의거한 신앙이라는 별개의 연원에서 출발하는 신앙들이다. 이에 두 신앙의 성립시기와 사상적 배경이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신앙이 중국불교사의 변천과 더불어 오대산지역 불교의 발전에 따라서 결합되면서 나중에는 동일하게 되었다.
    동진 시기 번역된 60권본 『華嚴經』 「菩薩住處品」에는 문수보살이 청량산에서 常住說法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바로 이 문구의 청량산을 중국 오대산으로 해석하였기 때문에 오대산문수신앙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역대의 문헌 기록들과 학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화엄경』의 「보살주처품」을 그 근거로 하여 일찍이 북조시기부터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처이었다는 인식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 문헌들을 자세히 고찰해 보면 오대산의 발전과 문수신앙의 관계는 선인들이 논했던 것처럼 그렇게 긴밀하지는 않았다. 이 시기 오대산불교의 발전은 결코 문수신앙이 주가 아니었다. 그리고 수나라 이전에 ‘청량산=오대산’이라는 인식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신라 중고기 불교계를 대표하는 승려 慈藏은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전래자로 지칭된다. 그런데 현재 전하고 있는 자료들 상호간에 서로 모순되는 내용이 있어 학계에서는 자장이 문수신앙의 전래자라는 점에 대하여 확정할 만한 구체적인 근거가 빈약하여 이에 대한 의문이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다.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설립 과정을 참고해 보면 자장이 입당하였지만 代州 오대산을 참배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문수신앙은 자장의 입당 이전, 구법승을 통해 불교경전을 신라로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신라 오대산문수신앙의 성립 시기는 8세기 중엽을 넘어서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신라중대에 전래된 오대산문수신앙은 당나라의 오대산문수신앙의 발전에 따라 수용하게 되었다. 이처럼 신라의 오대산문수신앙은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긴 시간을 두고 진행된 것으로, 선덕여왕에서 경덕왕 대에 걸쳐 점차 성립된 것으로, 결국 불국토사상을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북방정책에 발맞추어 명주 오대산 일대의 안정화를 그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文殊信仰) at Wutai Shan (or Mount Wutai五臺山) is based upon Avatamasaka Sutra (『華嚴經』). According to Avatamasaka Sutra, which has been translated in 60 volumes during the period of Eastern Jin dynasty, it is believed that Manjusri resides at Qingliang Shan (or Mount Clear-and-Cool清涼山) to preach the Dharma.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at Wutai Shan emerged in later ages due to the explanation that Wutai Shan indeed is the Qingliang Shan in Avatamasaka Sutra. In the light of historical documentations and academic researches, the majority claims that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has become influential since the Northern dynasty. However, it could be found in relevant documentatio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utai Shan and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in fact was not that cohesive as many scholars has concluded. By that time, Manjusri Worship did not have a dominant position at Wutai Shan; moreover, the recognition that “Qingliang Shan is Wutai Shan” had not yet formed before the Sui dynasty.
    Jajang (慈藏), a Buddhist master monk during the period of Medieval Silla, is believed as the one who introduced Manjursi Worship to Mount Odae, Silla. However, the contradiction can be found in existent historical documentations, and scholars are unable to provide more convictive evidence to prove that Jajang introduced Manjursi Worship to Silla, all of which caused the current doubt. Considering the process of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Manjursi Worship at Wutai Shan, the story that Jajang made a pilgrimage to Wutai Shan during the Tang dynasty is fictional.
    The introduction of Manjusri Worship to Silla should be earlier than Jajang visited Tang. In other words,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became widespread in Silla, while Buddhist scriptures were brought back to Silla by gubeopseung (求法僧).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no clear records on the date of the formation of Manjusri Worship at Silla’s Mount Odea, it would not be later than the mid-8th century. During that period,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followed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of Wutai Shan’s Manjusri Worship in Tang. Therefore, the formation of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in Silla had undergone a long time rather than with in a short time. From the period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to the period of King Gyeongdeok (景德王), the spread of Manjusri Worship was based on the idea of bulgukto (佛國土) and took Silla’s northern policy as the starting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stabilized and peaceful environment at Mount Odea’s area in Myeongju (溟州).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