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慈藏의 唐 五臺山 參拜를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6.02.11
최종 저작일
2015.12
38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동국사학 / 59권
저자명 : 곽뢰

목차

Ⅰ. 서론
Ⅱ. 자장 오대산문수신앙 수용설의 검토
1. 중국의 연구
2. 한국의 연구
Ⅲ. 중고기 오대산문수신앙 수용설 출현의 역사적 의의
1. 자장 전기에 대한 재검토
2. 자장의 오대산참배에 대한 재검토
Ⅳ. 결론

한국어 초록

문수신앙, 오대산문수신앙은 각각 대승불교의 보살사상, 화엄경에
의거한 신앙이라는 별개의 연원에서 출발하는 신앙들이다. 이에 두 신앙의
성립시기와 사상적 배경이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신앙이 중국
불교사의 변천과 더불어 오대산지역 불교의 발전에 따라서 결합되면서 나
중에는 동일하게 되었다.
동진 시기 번역된 60권본 華嚴經 「菩薩住處品」에는 문수보살이 청량산에서 常住說法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바로 이 문구의 청량산을 중국
오대산으로 해석하였기 때문에 오대산문수신앙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역
대의 문헌 기록들과 학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화엄경의 「보살
주처품」을 그 근거로 하여 일찍이 북조시기부터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주
처이었다는 인식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
문헌들을 자세히 고찰해 보면 오대산의 발전과 문수신앙의 관계는 선인들
이 논했던 것처럼 그렇게 긴밀하지는 않았다. 이 시기 오대산불교의 발전
은 결코 문수신앙이 주가 아니었다. 그리고 수나라 이전에 ‘청량산=오대산’
이라는 인식이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신라 중고기 불교계를 대표하는 승려 慈藏은 신라 오대산문수신
앙의 전래자로 지칭된다. 그런데 현재 전하고 있는 자료들 상호간에 서로
모순되는 내용이 있어 학계에서는 자장이 문수신앙의 전래자라는 점에 대
하여 확정할 만한 구체적인 근거가 빈약하여 이에 대한 의문이 해소되지
못한 상황이다. 중국 오대산문수신앙의 설립 과정을 참고해 보면 자장이
입당하였지만 代州 오대산을 참배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라의 문수신앙은 자장의 입당 이전, 구법승을 통해 불교경전을 신라로
유입되면서 본격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신라 오
대산문수신앙의 성립 시기는 8세기 중엽을 넘어서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신라중대에 전래된 오대산문수신앙은 당나라의 오대산문수신앙의 발전에
따라 수용하게 되었다. 이처럼 신라의 오대산문수신앙은 일시에 이루어
진 것이 아니라 긴 시간을 두고 진행된 것으로, 선덕여왕에서 경덕왕 대에
걸쳐 점차 성립된 것으로, 결국 불국토사상을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북방정
책에 발맞추어 명주 오대산 일대의 안정화를 그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영어 초록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文殊信仰) at Wutai Shan (or
Mount Wutai五臺山) is based upon Avatamasaka Sutra (華嚴經).
According to Avatamasaka Sutra, which has been translated in 60
volumes during the period of Eastern Jin dynasty, it is believed that
Manjusri resides at Qingliang Shan (or Mount Clear-and-Cool清涼山) to
preach the Dharma.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at Wutai Shan
emerged in later ages due to the explanation that Wutai Shan indeed
is the Qingliang Shan in Avatamasaka Sutra. In the light of historical
documentations and academic researches, the majority claims that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has become influential since the Northern
dynasty. However, it could be found in relevant documentatio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utai Shan and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in fact was not that cohesive as many scholars has concluded.
By that time, Manjusri Worship did not have a dominant position at
Wutai Shan; moreover, the recognition that “Qingliang Shan is Wutai
Shan” had not yet formed before the Sui dynasty.
Jajang (慈藏), a Buddhist master monk during the period of Medieval
Silla, is believed as the one who introduced Manjursi Worship to Mount Odae, Silla. However, the contradiction can be found in existent
historical documentations, and scholars are unable to provide more
convictive evidence to prove that Jajang introduced Manjursi Worship
to Silla, all of which caused the current doubt. Considering the process
of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Manjursi Worship at Wutai Shan, the
story that Jajang made a pilgrimage to Wutai Shan during the Tang
dynasty is fictional.
The introduction of Manjusri Worship to Silla should be earlier than
Jajang visited Tang. In other words, the practice of Manjusri Worship
became widespread in Silla, while Buddhist scriptures were brought
back to Silla by gubeopseung (求法僧).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no clear records on the date of the formation of Manjusri Worship at
Silla’s Mount Odea, it would not be later than the mid-8th century.
During that period,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followed the
trajectory of development of Wutai Shan’s Manjusri Worship in Tang.
Therefore, the formation of Mount Odae’s Manjusri Worship in Silla had
undergone a long time rather than with in a short time. From the
period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to the period of King Gyeongdeok
(景德王), the spread of Manjusri Worship was based on the idea of
bulgukto (佛國土) and took Silla’s northern policy as the starting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stabilized and peaceful environment at Mount
Odea’s area in Myeongju (溟州).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新羅 中古期 五臺山文殊信仰 受容說의 재검토 -慈藏의 唐 五臺山 參拜를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