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擇里志』의 읽기 방식 - 서발문 및 관련 저작을 중심으로 - (Reading ways of ≪Taengniji≫ in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prologues and relative writing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조선 후기 『擇里志』의 읽기 방식 - 서발문 및 관련 저작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4권 / 4호 / 265 ~ 290페이지
    · 저자명 : 임영걸

    초록

    본고에서는 『택리지』의 서발문 및 관련 저작을 수합하여 조선 후기 『택리지』 인식의 다양한 양상이 드러날 수 있도록, 저작을 내용과 저자의 소속 집단에 따라 세 부류로 분류해 보았다.
    ①李重煥 친인척의 서발문은 공통적으로 이중환의 고뇌와 저술 의도에 대해 추측하고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②洪重寅과 洪龜範의 「鄕居小誌」와 「觀擇里志書示我輩」는 당쟁의 폐해에 대한 고민이라는 『택리지』와 동일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글임에도, 이중환이 제시한 삶의 방식을 자가당착이라고 비판하고 고향에서 원한을 피하며 소박하게 살 것을 제안하고 있다. ③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의 실학자인 丁若鏞과 李圭景은, 이중환이 암시한 당쟁의 폐해와 그에 따른 사대부로서의 고뇌에는 무관심한 모습을 보인다. 대신 『택리지』에 담긴 정보를 정보 그 자체로 주목하고, 간략하게나마 자신의 지식으로 확충하려는 시도도 한다. 『택리지』를 정보서 내지는 실용서로 인식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collected and considered prologues and relative writings of ≪Taengniji≫ that had studied insufficiently in comparison with main body of ≪Taengniji≫ so as to examine intellectuals' recognition toward ≪Taengn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thesis confirmed ≪Taengniji≫ readers understood in various ways by belonging groups through the process. By classifying and suggesting prologues and relative writings into three groups by contents and belonging groups of writers, various aspects of the recognition of ≪Taengn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hown.
    First is prologues of Yi Chung-hwan(李重煥)'s relatives. Their prologues have differences of the contents respectively, but guess worries and writing intention of Yi Chung-hwan commonly and empathize directly and indirectly. It should be caused by not only genre characteristics of prologues written to examine writer's subject consciousness but also writers' belonging groups. Yi Chung-hwan's relatives are emotionally more closed to Yi Chung-hwan than other groups as well as have similar political standpoint, so experienced problems of party strife in the same period. Therefore, they should have more excellent abilities in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Yi Chung-hwan's subject consciusness than other groups.
    Second is <Hyanggeosoji> and <Maxim for children after reading Taengniji(觀擇里志書示兒輩)> of Hong Chung-in(洪重寅) and Hong Gui-beom(洪龜範). They are Namin people in the period same as Yi Chung-hwan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with Yi Chung-hwan. Two texts start from same sense of problem, worries about the damages of party strife, like ≪Taengniji≫. The solution suggested in here is different from that of ≪Taengniji≫. They criticized that living way to move party strife suggested by Yi Chung-hwan in ≪Taengniji≫ into the places without party strife or noblemen is self-contradiction and suggested to live simply and pastorally after avoiding resentment in hometown.
    Third is writings of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scholar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While entering the full-scale period of Silhak, the understanding of ≪Taengniji≫ showed new aspects. Cheong Yag-Yong(丁若鏞) and Yi gyu-gyoung(李圭景) remained a writing about it and they were indifferent to 'meaning out of the letters' implied by Yi Chung-hwan, subject consciousness about damages of party strife and the worries as noblemen, unlike the pervious period. Instead of it, they concentrated on the information of ≪Taengniji≫ as it was and tried to expand it as their own knowledge briefly. They recognized ≪Taengniji≫ as geographical information or economic practical book.
    The above consideration had a few specimen, so it's somewhat difficult to show changing process of the awareness about ≪Taengn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clearly. But, it shows various aspects of understanding ≪Taengniji≫ of Yi Chung-hwan's several readers from the period to the early 19th century. ≪Taengniji≫'s more relative writings should be discovered so as to draw changing process of the awareness about ≪Taengniji≫ more clea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