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The dedicatory prayers deposited in the inner hollow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Medicine Buddha) Statue in Janggoksa temple and prayers in the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12
33P 미리보기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29호 / 51 ~ 83페이지
    · 저자명 : 신은제

    초록

    불상의 조성과 결합된 복장의례는 고려중기 이래 조선에 이르기까지 성행했다.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8건의 고려시대 복장발원문이 현전한다. 개운사 소장 목조 아미타여래 복장발원문,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1301·02년명 복장발원문, 1322년명 천수관음 복장발원문, 부석사 금동보살좌상 결연문, 문수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발원문,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발원문, 1383년명 은제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발원문, 자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발원문이 알려져 있다. 현재 불교복장발원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못한 듯하다. 불상과 복장물목, 복장직물, 복장경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온 반면, 발원문을 활용하여 당시의 발원의 내용과 발원자들에 대한 분석을 본격적으로 시도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장곡사 복장 발원문의 내용과 발원자들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14세기 중엽 불교신앙의 한 양상을 확인해 보려 한다.
    장곡사 약사여래좌상 복장 발원문은 총 9점이 발견되었고 전체 발원자는 1116명으로 추산된다. 1천명이 넘는 발원자는 고려시대 발원문에서는 유례가 없다. 특히 이 가운데 백운의 발원문에만 1078명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백운의 발원문은 친전사 백운이 발원문을 쓰고, 발원문 다음 왼쪽 여백, 발원문 사이의 행간, 발원문의 뒤편에 각각 941명, 39명, 98명의 발원자가 기재되어 있다. 발원자의 이름은 한명이 2명 이상의 이름(자신의 이름을 포함)을 쓴 경우가 전체의 65%정도이고 1명의 이름만을 쓴 경우가 35%가량이었다. 여러 명의 이름을 쓴 경우는 대개 친족이나 노비와 같은 권속인 경우가 확인되고, 結社를 이룬 경우도 추측된다. 한편 이름이 적힌 별도의 비단을 실로 꿰매어 둔 경우도 4건이 확인되는데, 이는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장곡사 약사여래좌상의 조성에 참여한 1116명 가운데 약 30%가량이 상층계급 사람들이었다. 비교적 경제력을 갖춘 사람들이 발원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같은 해 문수사 아미타불상의 조성에 참여한 사람들 가운데 43% 가량이 상층계급이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장곡사 불상 조성에 보다 많은 민중들이 참여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질병과 죽음의 구제를 내용으로 한 약사신앙이 가진 특징으로 보인다.
    상층계급 참여자들 가운데 관직 소유자는 총 13명이며, 대부분은 하위 관직자였고 무관이었다. 장곡사 불상 조상의 상층계급 참여자 가운데에는 유독 ‘군부인’들이 많았다. 총 29명의 군부인이 발원에 참여하였는데, 이는 다른 발원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수치이다. 고려의 상층계급 여성들은 남자의 몸으로 태어나기를 기원했는데, 약사여래는 그것을 서원했기 때문에 다수의 군부인이 참여하였을 것이다. 발원자들 가운데 다른 기록에서 행적이 확인되는 이는 博陵郡君 具氏와 江寧郡夫人 洪氏였고 안경옹주 박씨처럼 후궁의 이름도 확인되며, 몽고인의 장수를 기원하는 발원도 있었다.

    영어초록

    The Bulbokjang(佛腹藏) ritual concerned with Making of Buddhist statue had prevailed from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Performing the rite, the participants to the rite wrote the dedicatory prayers, named Balwonmun(發願文). The dedicatory prayers introduced us the classical character of participants to a rite, the time when it was written out, the hope of participants.
    In this paper, I am purposed to study of the dedicatory prayers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Medicine Buddha) Statue in Janggoksa temple. Through the research, I will understand the classical character of participants to making of the statue, the hope of participants. The optative sentences were written in 1346, consisted of 9 sheets. The optative sentences had the names of about 1,117 participants. The name of participants and their wish was written in each sheet. Particularly, the dedicatory prayers written by Baeg’un had the most participants and was longest. There were the four scraps of silk fabrics which were written in names, they were stitched up the dedicatory prayers on Baeg’un’s dedicatory prayer. I think that this was affected by the devotion to Buddha Bhaisajyaguru.
    As you know, only upper class in Goryeo Dynasty had a family name, the participants who got a family name could be looked on as upper classes. According to my analysis, about 35% of them had a family name, therefore they belonged to upper classes. When compared with other dedicatory prayers, especially ones of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Statue in Munsusa temple, which about 43% of participants was upper classes, the lower classes participanted more in the making of Buddhist statue in Janggoksa temple than in Munsusa temple. Because Buddha Bhaisajyaguru saved the people from disease and death, the lower classes devoted him.
    By the way there were officials among upper class’s participants. The officials whose public posts were written in that, were 13 people. Most of them were the military officers. I wa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there were 29 Gunbuin(郡夫人), who belonged the high level women. A lot of high level women participated in making of the statue, for they believed that Buddha Bhaisajyaguru had ability to transform to a man a woman who couldn’t reach the state of nirva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