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壺山 朴文鎬의 明德과 至善에 대한 고찰 (A Research on Hosan Park Mun—Ho's Fair Conduct of Virtue and Extreme Goo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8.12
24P 미리보기
壺山 朴文鎬의 明德과 至善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51권 / 4호 / 53 ~ 76페이지
    · 저자명 : 이점수

    초록

    壺山 朴文鎬(1846~1918)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로서, 그가 살았던 조선말부터 개항초기는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격변기였다. 당시 조선의 지성인들은 근대화지상주의자, 위정척사파, 민중적 근대화론자 등으로 나뉘어 시대의 흐름에 대처하고 있었다. 유교주의자들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어서 溫故的 사상으로 전통 유학을 계승하려는 정통 성리학자들과 知新으로 새로운 학문을 받아들이려는 실학자들이 대립하고 있었다. 호산이 살았던 시기는 이미 주자학적 세계관이 쇠퇴하고 실사구시의 유학, 서학, 기독교적 세계관이 부상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정통 유학은 구학문으로 치부되기에 이르렀다. 조선 유학의 명맥이 끊어져 가는 상황에서, 호산은 경학을 평생 자신의 삶으로 생각하고 조선 유학을 집대성하고자 노력했다. 그렇다고 해서 구한말의 성리학자들을 시대정신에 뒤떨어진 인물로 폄하해서는 곤란할 것이다. 오히려 이들의 사유는 무주체적 근대화, 물신주의화로 요약되는 식민지적 근대성에 대한 비판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또한 호산에 대한 연구는 조선 중기 성리학자와 후기 실학자 중심의 논의에 치우친 한국 유학의 연구 풍토에 대한 반성․보완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明德’과 ‘至善’의 개념은 『大學』의 세 강령의 일부로서, 유교적 인간관과 공동체 윤리의 핵심을 담고 있다. 따라서 ‘平天下’ 혹은 ‘大同社會 건설’을 위해 유학자들이 이에 대한 논의를 정치하게 다듬는 데 힘쓴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호산도 예외는 아니었다.
    호산은 明德을 개인윤리의 관점으로 파악한다. 그는 성선설의 전통을 이어받아 인간 본성이 선하다고 전제한다. 다만 불변하는 본성인 性(理)을 감싸고 있는 가변적 본성인 心(氣)이 외물에 의해 흔들리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어떤 이는 성인이 되기도 하고 혹은 범인이 되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심성을 理氣論的 관점에서 설명하면서, 北溪陳氏의 설을 비판하는가 하면, 선유인 율곡과 우암의 학설을 창조적으로 계승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는 우인이라도 본성대로 心을 연마하면 현인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고 가르친다.
    호산은 至善을 관계성의 윤리, 사회 윤리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있다. 개인윤리가 승화되어야 할 궁극적 지향점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모름지기 인간은 ‘明明德’의 경지에 이르러 仁義禮智인 四端이 氣質之性에 의해 흐려지지 않게 해야 하고, 하늘의 이치에 부합하는 ‘지선’의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 윤리로서의 중용의 경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실현되는 공동체적 최고선을 뜻한다고 그는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호산은 관계성을 뜻하는 덕목인 信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교사상은 공동체적 가치관을 담고 있는 데 비해, 서구 개인주의 사상은 공동체의 가치에 짓눌린 개인․자아의 가치를 회복시킨 데 그 의미가 있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개개인이 ‘명덕’을 밝게 해서 개인과 공동체가 ‘지선’의 덕, 중용의 경지, 평천하의 세계에 이르고자 가르쳤던 유교적 가르침은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변증법적 통일을 지향하고 있다. 이는 전환시대에 호산이 탐구했던 사유의 핵심이었다.

    영어초록

    Hosan Park Mun—Ho (1846—1918) lived during the times ranging from the end of Chosun Kingdom to the beginning of the opening of ports, a period of severe social upheaval without precedent in the Korean history. It was the end of the Chosun Kingdom when the Classic Chinese was treated as an old—fashioned science as toadism was fading out while new sciences were being introduced from the West, instead. It may be thus true to say that those who had studied the authentic teachings of Confucianism for their whole life became virtually extinct around this age. Since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scriptures into Korea, studies on Chinese classics and metaphysic of Confucianism were conducted actively. Although lots of attention was paid to the authentic teachings and scholars of Confucianism at least upto the middle of the Chosun Kingdom, studies on scholars during the end of Chosun Kingdom didn't seem to have been briskly performed. This is why the present paper is motivated to deal with Hosan Park Mun—Ho, a scholar of Chinese classics and metaphysic of Confucianism who lived from the end of Chosun Kingdom upto the beginning of opening of Korean ports.
    He viewed the fair conduct of virtue (明德) from his personal ethical angle. It is mental disposition (心性). Mentality (心) may be divided into sacred and vulgar one whereas,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of wisdom and foolishness in disposition (性). As the fair conduct of virtue is pure by nature, man and material inherit and posses the same nature from heaven. Despite the division of the fair conduct of virtue into mentality and disposition, it shall be defined as a concept of disposition. The reason why it was mentioned that mentality may be divided into sacred and vulgar is because mentality may have bright as well as dark aspects in it. As mentality and disposition are items of virtue that can be cultivated by an individual, they are regarded here as a process leading to the extreme good (至善) by means of cultivating the Four Virtues (仁義禮智 or kindheartedness, righteousness, politeness, and wisdom that have been taught by Confucianism to be the basic virtues for man to foster).
    Hosan understood the extreme good as a concept of trust (信), which might be related to sociality from socio—ethical viewpoint. It could also be interpreted as existing in trustworthiness in the form of interdependence and coexistence among people. Although no reference to the extreme good is found in the text in the Chapter 3, Section 5, it can be said to be included in it if examined as to the context of the former as well as the latter segments. Furthermore, it is said that to stay in knowledge (知止) is a condition precedent to reaching the extreme good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