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석문과 목간으로 본6세기 신라의 촌락 구조 (The Village Structures of Silla in the Sixth Century based on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12
36P 미리보기
금석문과 목간으로 본6세기 신라의 촌락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32호 / 231 ~ 266페이지
    · 저자명 : 이경섭

    초록

    이 글은 6세기의 금석문과 목간 자료를 활용하여 신라 촌락의 내부 구조와 그 실상을 해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먼저 「포항중성리신라비」의 시기인 麻立干시대의 촌락사회는 在地首長의 인격적인 지배가 유지되고 있었으나, 외부적으로는 신라 6部에게 정치적․경제적으로 의존하면서 貢納과 奉仕의 책임을 다하는 복속 형태를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재지사회의 정황은 6세기 들어 더욱 활발해진 계층 분화에 따른 촌락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고, 6부 체제를 극복하면서 등장하는 신라의 새로운 권력구조에 직면하게 되면서 변화를 강요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촌락의 공동체적 질서 속에 존재하던 사람들을 신라국가의 公民으로 개인화하는 작업에 다름 아니었다.
    성산산성 목간의 本波․阿那․末那․前那 등의 용례는 村 내부적인 地域(區域) 방향과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였으며, 이것은 곧 촌락의 분화 양상과 구조를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한 표기였다. 당시 신라의 촌락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그 자체 불균형적인 성장과 소멸의 과정을 경과하고 있었으며, 국가는 이같은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촌락사회의 안정적인 지배를 꾀하고 있었던 것이다. 수취의 과정에서 제작된 성산산성 목간에 이와 같은 촌락 내부의 현상이 기재되었다는 것은 국가권력이 지배의 시선에서 촌락공동체 내부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촌락과 촌락민의 경제력 등의 처지에 따른 세액의 차등 부과와 민과 노인의 공동 납부 등의 양상은 당시 신라 국가가 村落의 현황과 내부 民의 정치경제적 사정까지도 파악하고서 수취를 진행하였음을 지적하였다.
    「포항냉수리신라비」의 분쟁 사실은 여전히 공동체적인 운영원리가 촌락민을 강하게 규정하는 가운데 국가가 財의 분쟁 등에 개입하면서 재지수장층을 정점으로 공동체적 성격이 내부화된 촌락사회를 분해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단양적성신라비」의 赤城烟이나 성산산성목간을 통해 볼 때 6세기 중엽의 신라에서는 촌락민들에 대한 기본적인 戶口조사가 이루어져 개별적 인신지배가 상당히 진전되었음을 밝혔다.
    6세기 신라의 촌락 구조는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였으며, 여러 가지 사정으로 촌락 자체는 분화하고 있었다. 촌락사회의 이러한 변동은 고대국가의 중앙집권화 과정에 연동하여 그 내부적 변화를 경과하였다고 이해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촌락사회 내부의 자체적인 변화도 간과할 수 없다. 6세기 촌락은 首長과 民의 관계를 중심으로 내적인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경과하면서 신라 국가라는 外力과 끊임없이 拮抗하였고, 그 결과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공동체로서 존재하였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structures and facts of villages in Silla based on the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from the sixth century. For this purpose,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village society during the Maripgan period depicted in the “Silla Tombstone in Jungseong-ri, Pohang” and found that the local heads maintained their character-based rule in the villages but were dependent on the six Bus of Sill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 their subjugation to Silla via tributes and service.
    In the “Wooden Tablets of Seongsan Mountain Fortress,” the examples of Bonpa, Ana, Malna, and Jeonna were terms to refer to the internal directions and scopes of areas(zones) in the villages and marks to show the division patterns of villages clearly. They were used for the state to understand changes to the village communities and govern them. Different amounts of taxes were imposed on villages and village people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tus, and common people were allowed to pay joint taxes with the elder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lla understood the current states of villages and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o collect taxes.
    The disputes depicted in “Silla Tombstone in Naengsu-ri, Pohang” show that Silla was in a transitional period as the state intervened in people’s disputes over wealth and caused the community nature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heads to break down the internalized village society while the community-based management principles still had a strong grip over the village people. The Jeokseongyeon in “Silla Tombstone in Jeokseong, Danyang” and the wooden tablets of Seongsan Mountain Fortress indicate that the government carried out basic census on village people and applied much advanced governance to individual residents in Silla in the middle six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