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봉유설> 「문장부」의 <예원치언> 인용양상에 대한 소고 (A Study on Yiyuan Zhiyan cited by the Munjangbu of Jibongyuseo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08
26P 미리보기
&lt;지봉유설&gt; 「문장부」의 &lt;예원치언&gt; 인용양상에 대한 소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문화연구 / 24권 / 235 ~ 260페이지
    · 저자명 : 전염순

    초록

    왕세정(王世貞)은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후칠자(後七子)의 영수(領袖)로, 이반룡(李攀龍)이 죽은 뒤 20년 동안 문단을 주도하였다. 그의 시문 및 시문 이론은 당시 및 후세의 많은 문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복고를 주장하여 “시필성당(詩必盛唐)”을 역설하면서도 표절과 모의를 반대하였다. 당시를 숭상하고 송시를 배격하지만 만년에는 송시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변했다. 『예원치언(艺苑卮言)』은 그의 시문 이론을 집중적으로 나타내는 저작으로 여러 해에 걸쳐 수차례의 수정 끝에 정문 8권, 부록 4권의 판본을 완성하였다. 이 책은 조선에 유입된 이후 문인들에게 널리 읽혀 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수광은 그 영향을 받은 사람 중의 한 명이다.
    이수광은 조선 중기 문인이다. 당시 조선 시단이 전에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하던 송시로부터 당시로 점차 변해 가고 있어 삼당시인, 이수광 등 문인들이 당시풍(唐詩風)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지봉유설(芝峰类说)』은 조선 백과전서 성격의 저작이라고 불린다. 총 2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8부터 권14까지는 「문장부」이다. 권8은 주로 산문을 논하고, 권9부터 권14까지는 시를 위주로 논하고 간혹 사(詞)에 대해도 논한다. 「문장부」는 왕세정의 『예원치언』을 대량으로 인용하였다. 지금까지 이수광과 왕세정 간의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고 『예원치언』이 『지봉유설』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고찰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봉유설』 「문장부」가 어떻게 『예원치언』을 인용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지봉유』과 『예원치언』 간의 영향 관계를 깊이 있게 고찰하기 위한 선행적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Wang Shizhen(王世貞) and Li Panlong(李攀龍) were the leaders of the Ming dynasty "After Seven(後七子)". After Li Panlong(李攀龍) died, Wang Shizhen(王世貞) led the literary world for twenty years. His poems and theorie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literati of that time and later generations. Wang Shizhen(王世貞) advocated restoring ancient ways, urged that poets must imitate Tang Poetry, but he also against imitation. He valued Tang Poetry, debased Song Poetry, but when he was old, he changed his attitude towards Song Poetry. Yiyuan Zhiyan(藝苑巵言) is a book that reflected his theory of poetry and prose. This book went through several revisions in many years, and finally it included the main text eight volumes and appendixes four volumes. Since introduced into Joseon, Yiyuan Zhiyan(藝苑巵言) was widely read by Joseon literati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m. Lee Soo-Kwang(李睟光) was one of them.
    Lee Soo-Kwang(李睟光) lived in the Middle Joseon Period. At that time, Poetry gradually changed from Song poetry into Tang poetry. Sam Dang poets(三唐詩人) and Lee Soo-Kwang(李睟光) aggressively pursued the Dang’s poetical style. Jibongyuseol(芝峯類說), being described as the frist encyclopedic book, includes twenty volumes. And from the eighth volume to the fourteenth are munjangbu(文章部). The eighth volume mainly deals with prose, and the rest volumes mainly discuss poetry and a few Ci(詞). Munjangbu(文章部) has quoted extensively the contents of Yiyuan Zhiyan(藝苑巵言). Until now, there are not many papers abou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Lee Soo-Kwang(李睟光) and Wang Shizhen(王世貞), and there is no paper abou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Yiyuan Zhiyan(藝苑巵言). So this paper will study on how did the munjangbu(文章部) of Jibongyuseol(芝峯類說) cited Yiyuan Zhiyan(藝苑巵言). And it could be argued that this study needs to carry on frist before we give a deep reseach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Yiyuan Zhiyan(藝苑巵言).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