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淨土或問』의 정토왕생관 및 수행법 고찰 (A study about methods of practice and views of Sukkāvatī in Jingtuhuowe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6
31P 미리보기
『淨土或問』의 정토왕생관 및 수행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4호 / 197 ~ 227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정토혹문』은 정토 및 왕생의 문제와 관련하여 26항목의 문답을 통하여 그 의문점을 해결해주고, 나아가서 정토왕생dp 대한 믿음을 지니도록 하고 직접 누구나 가능한 다양한 수행법을 제시해주는 안내서에 해당한다. 『정토혹문』의 내용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첫째는 정토의 왕생에 대한 기본적인 성격을 이해시켜주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정토는 유심정토이고 미타는 자성미타로서 궁극적으로 성불의 방편설로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방편은 차별이고 그 궁극은 평등한 까닭에 다양한 수행법으로 제시되어 있다.
    둘째는 정토에 왕생하는 조건에 대한 것이다. 정토에 왕생하는 것은 누구나 가능하지만, 제대로 왕생하기 위해서는 깨쳐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불퇴전의 정진이 필요하고 정토에 대한 의심을 타파해야 한다.
    셋째는 정토에 왕생하는 데에는 감응의 차별이 있다. 따라서 4종의 국토가 있고, 16가지의 인연의 차별이 있다. 그렇지만 궁극적으로는 아미타불의 위신력으로 누구나 언제든지 왕생의 길이 열려 있다고 말한다.
    넷째는 정토에 왕생하는 수행방법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는 왕생의 원리로써 누구나 자신의 마음을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발심을 하고 원력을 세워서 일심으로 염불하면 십념에 왕생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십념은 곧 일심을 벗어나지 않는다. 때문에 일심으로 수행한다면 관상법과 억념법과 중행법의 삼문수행을 비롯하여 십념법과 칭명염불 등을 통하여 누구든지 왕생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정토혹문』에 보이는 정토에 왕생하는 의문의 해소와 그 수행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로 수많은 정토관련 전적들에 수용되었다. 특히 명나라 시대에 다수 등장했던 정토관련 서적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도 『淨土寶書』 및 『栢庵淨土贊』을 비롯하여 『淨土紺珠』 등에도 많은 내용이 인용되어 전승되었으며, 근대에 이르러서도 『淨土讚百詠』 및 『念佛要門科解』, 기타 『參禪念佛文』 등이 속출되었다.

    영어초록

    Jingtuhuowen(淨土或問) was written by Tianru-weize(天如惟則) in Yuan(元)-dynasty of China. Jingtuhuowen is guide for sentient beings about the way of Sukkāvatī, that is to say, pure land. And Jingtuhuowen is great variety of presentation for practices. Jingtuhuowen was made of twenty six items. The twenty six items are written in question and answer form.
    But the general concepts of Jingtuhuowen are four group.
    First group is the basic characters for Sukkāvatī, that is, pure land of Buddhism. Sukkāvatī is depend upon ones mind and Amitabha is depend upon ones mind. Therefore the Sukkāvatī and Amitabha are the expedients for attaining of Buddhahood, but the an ultimate aim is same. There the expedients are distinction between practices.
    Second group is some terms for the way of Sukkāvatī. Everyone has possibility for the Sukkāvatī. But the right way for Sukkāvatī necessarily enlightenment. The enlightenment come true through devotion to the pursuit of one’s faith for Sukkāvatī and the result of one’s efforts for Sukkāvatī.
    Third group is response for the ways to Sukkāvatī. The responses for Sukkāvatī are diversity. There are four realms, that is to say, four worlds. Moreover, There are sixteen discrimination for karmas. But, when all is said and done by mights of Amitabha everyone and everytime can go to the Sukkāvatī in the end.
    Forth group is the methods of practice to attain for Sukkāvatī. The various methods of practice have a common feature, that is to say, maintain one’s pure mind for Sukkāvatī and Amitabha all times. To put it concretely, have awakening mind for Sukkāvatī and Amitabha, pronounce a vow to Sukkāvatī and Amitabha, repetition the sacred name of Amitabha and ten times repetition the sacred name of Amitabha.
    Some practical practices in Jingtuhuowen are the method by concept for Amitabha, the method by recollect for Amitabha and the method by united many practices. In the end, Jingtuhuowen have many practices and many notions for Sukkāvatī. Above all, the Sukkāvatī is depend upon ones mind and Amitabha is depend upon ones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