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史』 食貨志 陳田 개간 判文의 ‘私田’ 검토 (A review on the Sajeon that appeared in relation to cultivation of Jinjeon(陳田, wildland) of Sikhwaji in 『Goryeos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3.06
38P 미리보기
『高麗史』 食貨志 陳田 개간 判文의 ‘私田’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10호 / 123 ~ 160페이지
    · 저자명 : 오치훈

    초록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복무하거나 직역을 부담하는 이들에게 전시과를 지급하였다. 전시과는 토지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산판 — 柴地 —을 각각 나누어 준 것이었다. 하지만, 전시과에 의해 분급된 토지는 토지 그 자체가 아니라 단지 토지에서 생산된 곡물의 일정량을 주는 것이었다. 이렇게 곡물의 일정량을 가져갈 수 있는 권리를 수조권이라 한다. 전시과제도에 의해 양반관료가 수조권을 위임받은 토지가 곧 양반전이었다.
    그런데, 당시 사료에는 양반전을 흔히 ‘私田’이라고 표현하였다. 이것은 오늘날의 사유지와는 다른 뜻이며, 단지 租가 국가가 아닌 개인에게 귀속된다는 의미에서 ‘私田’이라고 한 것이었다. 하지만 한편으로 사유지를 私田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고려시대의 私田을 해석할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고는 고려시대의 私田을 이해하는 기초 작업으로 『高麗史』 食貨志 田制 租稅條의 陳田 개간과 관련하여 등장하는 私田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진전 개간 판문에 보이는 私田은 兩班田과 같은 私人收租地였다. 때문에 사유지에서의 개간과는 달리 국가가 田主와 佃戶 사이의 수확물 분배를 규정한 것이었다. 이러한 내용은 광종 24년(973)과 예종 6년(1111)에 두 차례에 걸쳐 확인된다.
    광종대의 개간 규정은 3년 뒤에 시행될 始定田柴科의 예비 작업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광종의 호족 숙청과 같은 정치세력 교체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었다. 광종은 태조 이래의 호족 및 공신세력을 숙청하고 신진인사들을 등용하여 자신의 정치기반으로 삼았다. 그 결과 구세력이 갖고 있던 토지가 적몰되거나 신진관료들에게 주어지는 등 토지 소유관계에 혼란이 있었다. 陳田은 이와 같은 정치적 혼란 및 농업환경의 제약에 의해 발생하였다. 이에 973년에 전시과 창설 3년을 앞두고 관료에 대한 체계적인 토지분급제 마련을 위해 진전 개간 규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예종대의 진전 개간 규정은 부실한 私田 관리의 결과 만들어졌다. 국초에 정해진 진전 개간 및 사전 운영 방식이 시간이 흐르면서 규정대로 지켜지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관리들이 佃戶로부터 불법적으로 租를 거두거나 軍人田을 소홀하게 관리하여 군인이 도산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때문에 예종 6년에는 전호와 사전주의 수확물 분배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정하였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私田 경영을 도모했다.

    영어초록

    In the Goryeo era, Jeonsigwa(田柴科) was provided to those who performed government service or were in charge of a certain Jikyeok(職役).
    Jeonsigwa concerned granting land and the right to obtain firewood, in other words, Siji(柴地). However, the land which was divided and distributed under Jeonsigwa was not to be directly given but only some amount of grains produced from the land were granted. The right to obtain some amount of grains is called Sujogwon(收租權, the right of collecting land tax). The land whose Sujogwon was commissioned to Yangban(兩班) bureaucrats under the system of Jeonsigwa was Yangbanjeon(兩班田).
    However, in the historical records at the time, Yangbanjeon was often expressed as Sajeon(私田). This is different from today's private land, but just in that Jo(租, land tax) belonged to individuals, not the government, it was called Sajeon.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where private land was called Sajeon and therefore special caution is needed when interpreting Sajeon of the Goryeo era. This paper reviewed Sajeon that appeared in relation to cultivation of Jinjeon(陳田, wildland) of Sikhwaji(食貨志) Geonje(田制) Jose(租稅) in Goryeosa(高麗史) and was able to find the followings.
    Sajeon that appears in panmun(判文, regulation) on Jinjeon cultivation was Sujoji(收租地) like Yangbanjeon. Therefore, unlike cultivation of private land, the government prescribed distribution of crops between Jeonju(田主) and Jeonho(佃戶). This is verified twice in the 24th year of King Gwangjong(光宗, 973) and the 6th year of King Yejong(睿宗, 1111).
    The regulation on cultivation during Gwangjong’s regime was a preliminary work for Jeonsigwa to be implemented three years later and reflected the result of transfer of political powers like purge of Hojok(豪 族). King Gwangjong purged Hojok and meritorious retainers and appointed new powers in order to assume them as the basis of his politics. As a result there was disorder in land ownership by taking land owned by old powers and giving it to new bureaucrats. Jinjeon resulted from such political chaos and restrictions by agricultural environment. Accordingly, in 973, three year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Jeonsigwa, the regulation on Jinjeon cultivation in order to create a systematic land distribution system was needed. The regulation on Jinjeon cultivation during Yejong’s regime resulted from poor management of Sajeon. Jinjeon cultivation and preliminary operational methods determined in early Goryeo era were not observed over time. Accordingly, bureaucrats illegally took Jo(租) from Jeonho or negligently managed Guninjeon(軍人田), triggering problems like soldiers' bankruptcy. As a result, in the 6th year of King Yejong, new regulation on the distribution of crops was made in relation to Jeonho and Sajeon owners, thereby seeking stable management of Saj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