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의 불교금석문 인용사례와 인용방식 (Cases and Methods of Citing Buddhist Epigraphy in Samguk Yusa三國遺事)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11
24P 미리보기
『三國遺事』의 불교금석문 인용사례와 인용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69호 / 203 ~ 226페이지
    · 저자명 : 신선혜

    초록

    『삼국유사』에서 발견되는 금석문은 대개 造塔, 造像 관련 銘文 등 불교 금석문류이다. 이에 금석문의 인용이 발견되는 편목은 塔像편에 집중되어 있으며 興法, 義解편에서도 몇몇 확인되지만 그 수는 많지 않은 편이다. 그럼에도 금석문의 인용사례를 살펴야 하는 것은 이를 통해 『삼국유사』의 찬술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뿐 만 아니라 고려시대까지의 금석문 발견 및 현존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국유사』의 불교금석문 인용사례를 정리하고, 사례별로 『삼국유사』와 금석문간 인용 문구를 비교해 보았다. 사례는 총 14건이 정리되었는데, 그 중 금석문의 명칭 및 인용여부를 기재한 사례는 12건, 기재하지 않은 사례는 2건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인용방식의 차이점은 『삼국유사』 찬술 당시 금석문의 상태가 온전하지 않아 全文을 파악하기 힘들거나 금석문의 명칭인 題額이 판독되지 않는 경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일연은 『삼국유사』 찬술 당시에 남아있던, 즉 실견할 수 있던 금석문을 주로 인용하였는데, 대표적으로 「聖德大王神鍾銘」과 「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造像記」, 「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造像記」, 「鍪藏寺阿彌陀如來造像事蹟碑」, 「高仙寺誓幢和上碑」 등이 해당된다. 이들은 일연이 경주를 직접 답사하며 실견한 금석문인데, 「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의 경우와 같이 실견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채록된 2차자료를 부분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금석문의 인용 시에는 문구의 변형 및 교정, 조목의 성격에 맞는 부분을 인용하는 방식을 취하였고, 본문의 서술과 다른 내용을 가진 금석문을 인용할 경우 내용의 70% 이상의 분량을 인용하여 독자들이 자료 간 正誤를 가늠할 수 있게 하였다. 『삼국유사』에 인용된 문헌자료류와 비교할 때 금석문의 경우 인용 분량이 적고 정확도의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으나, 일연은 『삼국사기』 등 이전 문헌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불교금석문의 사료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의 존재와 채록에 의미를 두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ases of citing Buddhist epigraphy in Samguk Yusa三國遺事 and compare the words of citation among those cases. Fourteen cases in total were surveyed; among them, twelve mentioned that the words were cited with the title of the epigraph, while two had no such information.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citation seems to have resulted from the obstacles that the author faced when writing the book: the condition of some epigraphy that prevented the readability of whole sentences, or the failure to recognize titles of some epigraphy.
    It is also noticeable that Il-yeon一然 cited those epigraph of which sentences were accessible by then, namely The Inscription on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聖德大王神鍾銘, The Inscribed Records of the Stone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at Gamsansa Temple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造像記, The Inscribed Records of the Amitabha Buddha Statue彌陀造像記, The Inscribed Records of the Amitabha Tathagata at Mujangsa Temple鍪藏寺阿彌陀如來造像事蹟碑, and The Epigraph on the Stele of Seodangwasang at Goseonsa Temple高仙寺誓幢和上碑. Those were epigraphs that Il-yeon could have visited to read directly by the time in Gyeongju慶州. On the other hand, as for some inscriptions that he could not see with his eyes, such as The Record Inscribed on a Pillar of the Nine-Storied Wooden Pagoda at Hwangnyongsa Temple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he might have cited secondary records. Besides, when quoting the epigraphy, the author transformed and corrected, or partially cited the sentences to meet his purposes. In those cases where the contents of the epigraphy contradicted to the description in the Samguk Yusa, Il-yeon chose to cite more than 70% of the epigraphy to help the readers to decide for themselves the right and wrong of the data.
    Compared with other kinds of references mentioned in Samguk Yusa, the cases of citing epigraphy were rare and not satisfactorily correct. However, Il-yeon tried to discover the historical values of Buddhist Epigraphy, which were disregarded in previous works including Samguk Sagi三國史記, and found meaning in recording the sentences on them in his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