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불교 서사문화와 통일신라 사경 (Distinct Aspects of Unified Silla Buddhist Manuscript’s Calligraphic Style in East Asia Buddhist Manuscript Cultu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4.03
32P 미리보기
동아시아 불교 서사문화와 통일신라 사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8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리송재

    초록

    중국의 불교경전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과는 다른 개별의 서체 특징을 가지고 하나의 유형을 이루고 있다. 사경의 서체는 초기 東漢 말기부터 남북조시기까지 예서의 필의가 강한 ‘예해(隸楷)’, 그리고 이후 수·당시기에는 해서법이 정형화된 ‘정해(正楷)’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불경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시대서풍)과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변화·발전하게 되는데, 필획·결구 등이 전통적인 학습에 의해 전승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당시 유행서풍의 수용보다는 관습적인 성격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의 문자문화 역시 통일기 이후 수·당 서풍이 지배적이지만, 불교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의 영향을 살펴보기 어렵다. 더구나 현전하는 통일신라 사경 및 불교 문자자료를 살펴보면 정형화된 수·당 사경의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그 이전 남북조 사경의 조형을 보이는 것도 있어 필획․결구의 특징 등에서 관습적인 성격을 짐작케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 사경 서사는 경전의 보급·전파를 목적으로 하여 많은 양의 글자를 써야 했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감이 필요하다. 筆寫시 속도감의 필요에 의해 用筆에서 起筆部는 尖筆의 형태로 생략되고, 收筆部 또한 回鋒이 생략된 채 붓을 멈추어 간단히 마무리를 한다. 획과 획의 연결성이 두드러지고, 획이 간략화되면서 행·초서의 자형을 수용하고 나아가 이체자의 형태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처럼 불교경전 서사문화에서 외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발전하게 되지만, 근본이 되는 경문의 서사는 초기 사경의 필법과 결구, 장법 등의 관습이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내려온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Chinese Buddhist manuscript culture seems to maintain distinct stylistic features, which does not parallel to mainstream calligraphic movement. Calligraphic style of Buddhist manuscript in China was dominated by clerical script(隸書) from the end of East Han Dynasty 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period. However, the usage of regular script(楷書) becomes widespread in Sui and Tang dynasty. In other word, Buddhist manuscript culture was developed in its idiosyncratic atmosphere in which the ways for connecting strokes as well as stretching strokes was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s.
    Unified Silla dynasty appears to accept Sui and Tang dynasty’s calligraphic style, but it is hard to say that Unified Silla dynasty Buddhist manuscript calligraphy also follows to the mainstream movement. Some Unified Silla dynasty’s Buddhist manuscripts and documents accommodated dual traditions: Sui and Tang dynasty manuscript elements and previous dynasty’s ones.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evangelization in China, it was required to produce many manuscripts to spread Buddhist doctrines. To deal with such demands, Buddhist scribes ha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maturity, by which they could write down text as fast as possible. In order to optimize brush strokes for every character, Buddhist scribes made initial strokes finer lines and tried not to extend the last strokes to the embellishment level, by which a Buddhist scribe had to pay the extra attention to render round shape of last strokes. Therefore, when we compare Buddhist manuscript’s calligraphic style with ordinary literati’s calligraphic style in those days, the former displays distinct features. A link among strokes becomes more definite, and the number of strokes in characters tends to be simplified and minimized. As a result, the overall appearance of Buddhist manuscript characters tended to embrace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n was developed to the stage, in which Buddhist scribes rendered variant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re only shown in Buddhist manuscripts.
    We have noticed the various means were devised in Buddhist manuscript culture. However, the fundamental elements, characters to complete the contents of various texts, do not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h means but succeed the initial period’s calligraphic sty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