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백자 모란문의 연원 및 전개양상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White Porcelain with the Peony Design in the Late Joseon Dynasty)

6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6
67P 미리보기
조선후기 백자 모란문의 연원 및 전개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42권 / 245 ~ 311페이지
    · 저자명 : 최경화

    초록

    조선후기에는 조선 전·중기 청화백자에는 표현되지 않던 모란이 시문되었는데, 이것은 18세기 화단에서 모란도가 제작되기 시작한 것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조선후기 백자에 가장 많이 시문된 것은 회화풍이 아닌 도안풍의 모란으로 당초(唐草) 보다는 절지(折枝)형이 주로 시문되었는데, 절지형 모란 도상은 모두 그 연원을 당·송·오대 등의 고분벽화에 그려진 서모란(瑞牡丹)에까지 소급해 볼 수 있다. 서모란 도상은 중국 회화작품은 물론 원·명·청대 도자에까지 이어졌으며, 한·중 교류를 통해 한반도의 도자 및 회화 등에도 나타났다. 그러나 조선전기청화백자에는 당시 국시(國是)로 내세운 유교로 인해 문양화 되지 못하다가 조선후기 모란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로 인해 모란이 백자 기면에 전면 등장하게 되었다. 조선후기 백자 모란문에는 18세기 이후 민화의 발달로 인해 꽃송이가 민화풍으로 시문된 것들이 확인되며, 조선후기 모란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는 모란을 사군자의 반열에까지 올려 매화·대나무·국화 등과 함께 하나의 기면에 시문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 백자 모란문은 근대기에도 그 지위를 공고히 하면서, 뚜렷한 지역색을 띠며 발전하였던 양구백자나 해주백자에 이어 일상용기가 아닌 예술작품으로 평가되는 조선미전 입선작들에서도 시문되는 등 지속적인 사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eony design, which had not been used in the early and mid-Joseon Dynasty, started to be drawn white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d blue. This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emergence of peony paintings in the art world during the 18th century. The most commonly drawn design on white porcelai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the stylized peony, which was primarily drawn in the spray pattern(折枝) rather than the scroll pattern (唐草). The origin of the peony spray motif can trace back to the auspicious peony(瑞牡丹) depicted on the ancient tomb murals of the Tang, Song, and Five Dynasties. This motif appeared not only in Chinese paintings but also in porcelain of the Yuan, Ming, and Qing periods, further making its way into Korean porcelain and paintings through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However,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could not be used as a motif of white porcelain painted with underglazed blue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national ideology of Joseon, but the change in social perception towards the peony in the late Joseon Dynasty eventually enabled it to appear on the surface of white porcelain.
    White porcelain bearing the peony design in the late Joseon period included peony blossoms drawn in the folk painting style on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folk paintings after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peony elevated it to the level of the Four Gracious Plants, leading it to be drawn on one surface alongside plum, orchid, chrysanthemum, etc. The white porcelain peony design from the late Joseon period maintained its strong presence in the modern era, continuing to be used in Yanggu and Haeju white porcelains, which developed with distinctive local characters, as well as the winning porcelain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which were regarded as works of art rather than containers for everyday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