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문예지의 대중화 및 탈지방화 전략-일제 강점기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新詩壇)』을 중심으로 (The Strategies for Popularization and Delocalization of Regional Literary Magazines-Focusing on the Jinju Regional Literary Magazine Shinsid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4.08
30P 미리보기
지역문예지의 대중화 및 탈지방화 전략-일제 강점기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新詩壇)』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7호 / 119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이 연구는 진주 지역문예지 『신시단』을 중심으로 근대 지역문예지의 의미를 문화사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 근대 문예지인 『신시단』을 통해 지방에서 일어났던 문예운동을 탐구하고, 지역적 위계를 넘어서려는 노력과 전략을 살펴보았다. 『신시단』은 문화와 문학의 중심이었던 서울이 아닌 소외된 지방을 새로운 중심으로 문학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한 문예지로, 1920년대 후반의 문학 대중화 운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분석된다.
    한편, 서울과 지방의 지역 위계는 문학 연구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서울 중심 연구가 주를 이루는 등 지역 문학의 관심과 논의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1980년대 후반 지방자치법 개정 이후 지방자치 시대가 되면서 이러한 문제가 인식되고 운동 차원에서 논의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는 아쉽게도 지역 문학의 가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여 문학 연구의 확장을 막아왔다. 즉, 지역 문학은 지역 간의 수평적 연대를 기반으로 해야 하며, 단순히 ‘지방문학’으로만 치부되어서도 안 된다.
    지역문예지는 지역 문인 간의 소통뿐만 아니라 지역민과의 소통을 통해 지역 문학의 발전에 일조하는 역할을 한다. 『신시단』은 이러한 역할에 더하여 타지역의 다양한 작가들과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으며 농민과 여성이 작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일제에 대한 저항하는 등 검열이라는 체제에 맞서는 방식으로 독자와 소통하며 독자의 의식을 높이고 서울의 낙수를 기다리는 지방이 아닌, 지방이 중심이 되어 세계로 뻗어나가려는 기획 등 지역 위계를 넘어서는 진취적인 전략 등 다양한 문예운동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진주의 『신시단』은 지방 문예운동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근대자료로 평가된다. 지역 문학은 한 지역에 한정되고 동떨어진 문학이라고 할 수 없다. 한 시대를 공유하는 구체적인 문학 현실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오히려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에 진주 지역을 거점으로 지역문예운동을 시작한 『신시단』이야 말로 한 지역을 넘어 한국문학사에서 새로운 가치로 평가받을 만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ulturally and historically analyze the significance of modern regional literary magazines, focusing on the Jinju regional literary magazine Shinsidan. In particular, through Shinsidan, a modern literary magazin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 explores literary movements that took place in local regions and examines efforts and strategies to transcend regional hierarchies. Shinsidan, as a literary magazine that attempted to expand literature in regions marginalized from the cultural and literary center of Seoul, is analyzed as an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the late 1920s movement of literary popularization.
    In literary research, the clear hierarchy between Seoul and regional areas has long been evident, with Seoul-centric studies dominating and limited interest and discussion on regional literature. Since the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law in the late 1980s, issues related to regional literature have gradually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t the level of literary movements. However, such discussions have unfortunately hindered the accurate assessment of the value of regional literature, thus impeding the expansion of literary research. Therefore, regional literature should be viewed based on horizontal solidarity between regions, rather than simply being labeled as “regional literature.” Regional literary magazines have played a role not only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mong regional writers but also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itera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hinsidan not only served this role but also acted as a link between various writers from different regions, providing a platform for farmers and women to emerge as writers. Moreover, it employed strategies to transcend regional hierarchies, such as resisting Japanese censorship and engaging in communication with readers, aiming to establish local regions as centers reaching out to the world.
    Therefore, the Jinju-based Shinsidan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modern source that revitalized regional literary movements. Regional literature should not be limited to a specific area or viewed as detached literature but rather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in sharing specific literary realities of a given era. Thus, Shinsidan, which began as a regional literary movement centered in Jin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uld be acknowledged as having new valu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