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城郭의 築城關聯 金石文 (The Epigraph of Seoul castle about Building a Cast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7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8.02
72P 미리보기
서울城郭의 築城關聯 金石文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71호 / 187 ~ 258페이지
    · 저자명 : 민덕식

    초록

    築城에 있어서 堅固性은 매우 중요한데, 서울城郭은 都城인 만큼 더욱 신경을 썼다. 이 때문에 體城을 쌓은 곳의 面石이나 女墻의 墻石에다 監役官의 성명을 새기도록 하여 축성한 후에 무너지는 일이 발생하면, 해당 성벽을 쌓는 것을 감역하였던 監役官으로 하여금 修補하게 하고, 아울러 감역관을 論罪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刻字城石은 감역관들의 부지런함과 태만함을 징험할 수 있는 자료가 되었다. 또한 견고도는 匠人들의 성실성과도 관련이 깊으므로 石工들의 성명도 刻字토록 하였다.
    이번에 조사한 刻字城石은 모두 84점으로, 太祖代 18점, 世宗代 33점, 孝宗代 1점, 肅宗代 5점, 正祖代 1점, 純祖代 17점, 哲宗代 1점, 不明이 8점이다. 이 중에서 세종대가 전체의 39%이고, 태조대가 21%이다.
    이번에 조사된 太祖代의 字號銘 刻字城石들은 전라도의 「柰字銘刻字城石」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상도 지역의 것들이다. 「柰字銘刻字城石」이 확인됨으로써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가 지금의 서울타워 동편이었음을 알 수가 있게 되었다.
    世宗代의 축성 관련 금석문이 과연 세종대의 것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번에 海珎, 順興, 基川이 새겨진 각자성석이 확인되면서 이러한 의문은 완전히 해소되게 되었다. 또 「平澤銘刻字城石」과 「同福銘刻字城石」을 통해 충청도와 전라도의 공사구역의 경계가 駱山과 興仁門 사이였음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또 「海珎銘刻字城石」과 「咸安銘刻字城石」을 통해 전라도와 경상도의 공사구역의 경계가 지금의 장충체육관 부근이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肅宗代는 대대적인 수축 공사를 실시하였던 것에 비하여 축성 관련 금석문 수가 적은 편이다. 小田省吾는 12개소의 자료를 소개하였으나, 현재는 몇 개소밖에 남아 있지 않다.
    正祖代에서 哲宗代 사이에 축조된 女墻은 墻石을 體城의 面石처럼 다듬어서 사용하고, 옥개석과 귀옥개석도 잘 다듬어서 만들었다. 이는 英祖代에 甓甎으로 만든 것을 이처럼 고쳐 쌓은 것이다.

    영어초록

    The solidity about building a castle is very important. Seoul castle as a capital was well made. When building the cheseong(體城), The name of gamyeokgwan(監役官) was carved on jangseok(墻石) of yeojang(女墻) or myeonseok(面石). If the castle collapsed, it was repaired by the related gamyeokgwan and he sat in judgement. So gakjaseongseok(刻字城石) was source material to punish gamyeokgwan for their diligence and negligence. And the solidity was related to diligence of craftsmans, so stonemason's name was carved.
    84 gakjaseongseoks(刻字城石) were investigated this time. There are Taejo(太祖) period 18 pieces, Sejong(世宗) period 33 pieces, Hyojong(孝宗) period 1 piece, Sukjong(肅宗) period 5 pieces, Jeongjo(正祖) period 1 piece, Sunjo(純祖) period 17 pieces, Cheoljong(哲宗) period 1 piece, and unknown period 8 pieces. Among this, Sejong(世宗) period is 39 percent and Taejo(太祖) period is 21 percent.
    Investigated jahomyeonggakjaseongseok(字號銘刻字城石) of Taejo(太祖) period was all Gyeongsangdo local's pieces, exclusive of Jeonlado's naejamyeonggakjaseongseok(柰字銘刻字城石). As naejamyeonggakjaseongseok was checked, we could know that the boundary between Gyeongsangdo and Jeonlado is the east site of Seoul tower.
    Some people doubt that making age of the Sejong period epigraph related to building the castle is correct. As gakjaseongseoks that Haejin(海珎), Sunheung(順興) and Gicheon(基川) were carved on them were checked, this doubt will be solved. According to pyeongtaekmyeonggakjaseongseok(平澤銘刻字城石) and dongbokmyeonggakjaseongseok (同福銘刻字城石), we could know that the building boundary between Chungchyengdo and Jeonlado is a site between Naksan(駱山) and Heuinmun(興仁門). According to haejinmyeonggakjaseongseok(海珎銘刻字城石) and Hamanmyeonggakjaseongseok(咸安銘刻字城石), we could know that the building boundary between Gyeongsangdo and Jeonlado is the vicinity of Janchung gymnasium.
    Seoul castle was extensively rebuilt in Sukjong period, but epigraph related to building the castle is few. Sojeonseongo(小田省吾) introduced source materials of 12 sites to public, but few sites remain now.
    The yeojang that was made between Jeongjo period and Cheoljong period used the trimed jangseok like myeonseok of cheseong. The okgaeseok and gwiokgaeseok were trimed well. The part of Seoul castle that was built with bricks in Yeongjo(英祖) period repaired like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