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濟衆新編』의 인용문헌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s Cited in Jejung Sinpy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0.06
22P 미리보기
『濟衆新編』의 인용문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1
    · 수록지 정보 : 서지학보 / 35호 / 61 ~ 82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濟衆新編』은 정조의 명에 의해 강명길이 편찬한 관찬의서로 1799년(정조 23) 처음 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濟衆新編』의 편찬 배경 및 그 구성과 체제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濟衆新編引用諸方’을 분석함으로써 『濟衆新編』 편찬의 의의와 성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濟衆新編』의 編纂의 背景을 살펴보면, 正祖는 『東醫寶鑑』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중복되고 빠진 부분, 난해한 부분 등을 지적하면서 새로운 질병의 양상과 치료법을 포함하는 醫書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濟衆新編』의 편집 방향은 『東醫寶鑑』이 간행된 이후 나타난 질병 양상의 변화와 의학지식의 발전을 수용해야 할 필요성도 만족시키는 것이었다.
    『濟衆新編』의 체제에 대해 살펴보면, 전체 내용을 8권5책 70개의 항목으로 기술하고 있다. 『濟衆新編』과 『東醫寶鑑』을 비교하여 그 항목의 출입을 살펴보면, 『濟衆新編』에서는 『東醫寶鑑』의 105개의 항목 중 39개의 항목을 삭제하고 새롭게 4개의 항목을 추가하였다. 추가된 항목은 권7의 痘疹, 麻疹, 養老와 권8의 藥性歌이다.
    『濟衆新編』의 引用文獻 분석 결과, ‘濟衆新編引用諸方’에서 밝히고 있는 21종의 引用文獻은 모두 1회 이상 인용되었다. 21종 중 11종의 문헌이 1회 인용되었고, 5종의 문헌은 2-8회 인용되었으며, 10회 이상 인용된 문헌은 5종이다. 그 외에 『臞仙方』, 『衛生方』, 『局方』, 『丹經』, 『救急方』 등의 文獻은 ‘濟衆新編引用諸方’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실제로 인용된 문헌임을 확인하였다.
    引用文獻별 引用回數를 살펴보면, 『濟衆新編』은 21종의 인용문헌에서 총 1,188회를 인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處方名에 引用된 回數는 물론 脈과 症候, 治療 등의 病症을 설명하면서 인용된 문헌까지를 모두 포함한 것이다. 여기에 ‘內局’, ‘新增’이라 표시된 인용과 누락된 5종의 문헌 인용까지를 모두 포함하면 引用回數는 총 1,278회에 이른다. 총 1,278회의 引用回數 중 1,048회가 『東醫寶鑑』에서 인용됨으로써 『濟衆新編』은 『東醫寶鑑』에서 88%를 인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Jejung Sinpyeon(濟衆新編), a government-sponsored medical book, was compiled by Gang Myeong-gil(康命吉) and published in 1799(the 2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t the order of the king.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to the compilation of the medical records, their composition and the system thereof, and analyzes the prescriptions cited in Jejung Sinpyeon Inyongjebang(濟衆新編引用諸方) in a bid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book's compilation.
    The study on the background to the compilation of Jejung Sinpyeon suggests that while King Jeongjo(正祖)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onguibogam(東醫寶鑑), he indicated its duplicated, missing and difficult portions, and sought to compile a medical book containing new disease patterns and therapies. This move was intended to reflect changes in the patterns of diseases and the medical developments achieved after the publication of Donguibogam.
    Jejung Sinpyeon consists of 8 volumes, 5 books and 70 items. A comparison of the items in Jejung Sinpyeon and Donguibogam indicates that, of 105 items in the latter, 39 were excluded from and four items were newly added to the former. The added items were dujin(痘疹), majin(麻疹), and yangno(養老) in Volume 7 and Yakseongga(藥性歌) in Volume 8.
    An analysis of the references cited in Jejung Sinpyeon indicates that 21 kinds of references mentioned in Jejung Sinpyeon Inyongjebang were all cited once or more often. Of the 21 kinds of references, eleven references were cited once, five references were cited 2-8 times, and the other five references were cited 10 times or more. References such as Guseonbang(臞仙方), Wisaengbang(衛生方), Gukbang(局方), Dangyeong(丹經) and Gugeupbang(救急方), were not listed in Jejung Sinpyeon Inyongjebang, bu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y were actually cited.
    A look at the number of citations of each reference suggests that Jejung Sinpyeon cited 21 kinds of references 1,188 times. This number includes not only the number of citations of prescription names, but also the number of citations of pulse, symptoms, therapies and the nature of various diseases. The number of citations totals 1,278, if those citations marked as naeguk(內局) and sinjeung(新增), as well as five kinds of references deleted from the list of references, are included. Of 1,278 citations, 1,048 citations or 88% were borrowed from Donguibog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