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어 중간문의 의미와 범위에 관한 연구: 조력적 중간문을 중심으로 (The Meaning and Scope of Russian Middle Constructions Focusing on Facilitative Middl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러시아어 중간문의 의미와 범위에 관한 연구: 조력적 중간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학보 / 37권 / 3호 / 227 ~ 254페이지
    · 저자명 : 남혜현

    초록

    조력적 중간문은 기저가 되는 타동사의 내부 논항이 행위 수행의 가장 큰 책임을 지며 주어가 되고, 동사는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탈시간적인 특성을 기술한다. 러시아어에서 조력적 중간문의 술어는 주로 불완료상 타동사에서 파생된 재귀동사의 현재형을 취하며, 기저동사의 행위대상이자 주어가 동사의 행위에 처할 가능성 정도를 그것의 지속적 특성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조력적 중간문은 주어(행위대상), 술어 동사 그리고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총칭적 행위자로 이루어진다. 또한, 많은 중간문은 행위 수행의 양태를 가리키는 부사구와 결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어(행위대상), 동사, 비명시적 행위자 그리고 부사구의 4가지 성분을 중심으로 조력적 중간문의 의미적,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고, 관련된 구문들과의 비교를 통해 러시아어 조력적 중간문의 고유한 특성을 분석했다.
    첫째, 선행연구에서 조력적 중간문을 형성하는 동사를 전형적 특성의미 재귀동사라고 명명한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조력적 중간문에 고유한 탈시간적 특성의미는 동사의 특정한 어휘의미 부류에 국한된다기보다는, 동사의 시상 형태, 곧 불완료상 현재시제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동사의 시제를 과거시제로 바꾸면 행위의 가능성과 잠재성이 약화되고, 동사의 상을 완료상으로 교체할 경우 행위의 반복성과 총칭성이 사라지며 반사동의 해석으로 전환된다.
    둘째, 조력적 중간문의 행위자는 총칭성을 띄며 함축될 뿐 명시될 수 없다. 따라서 행위자의 비한정성이라는 넓은 개념에서 중간문은 행위자를 표시하지 않는 수동문, 비한정인칭문, 일반인칭문과 연결된다. 또한 비총칭적 행위자는 у 전치사구를 통해 명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행위 수행의 원인과 책임은 전치사구를 통해 표현된 행위자에게 전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문장은 수동과 가까운 해석을 얻는다.
    셋째, 조력적 중간문은 대상이 행위에 처할 가능성의 정도를 그의 전형적인 특성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잠재성과 가능성의 양상 의미가 있다. 특히 조력적 중간문은 하나의 대상에 수행된 행위를 다른 대상에 수행된 행위와 비교하여 평가하므로 다양한 평가의미의 부사구와 결합한다. 따라서 중간문은 행위 수행의 (불)가능성, 의무성 뉘앙스를 표현하면서, 상응하는 양상어휘를 포함하는 문장들과 동의 관계에 놓인다.
    넷째, 조력적 중간문은 행위대상을 주어로 하지만, 원칙적으로 행위대상 외에 다른 논항도 주어가 되어 반복되는 비실재적 행위를 지속적인 특성의미로 제시할 수 있다. 러시아어에서는 도구의 특성을 기술하는 도구-주어문과 행위자-주어의 특성을 기술하는 반수동문이 이에 해당한다. 이 두 종류의 구문은 중간문보다 훨씬 더 좁은 범위의 동사들에서 형성된다.
    정리하면, 러시아어 중간문은 넓은 범위의 불완료상 타동사에서 만들어진 재귀동사의 현재시제형을 취하면서 주어의 탈시간적 특성의미를 제시하는데, 이 구문은 동사의 시상 형태, 행위자의 총칭성 여부와 그 표현 형태, 주어의 의미역 등에 따라 일반인칭문, 수동문, 비한정인칭문, 반사동문, 반수동문, 도구-주어문 등과 밀접히 연관된다.

    영어초록

    Middle voice is a construction that is difficult to define from the viewpoint of the voice as a dual system with passive and active constructions. Middle construction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detailed semantic types. Among them, facilitative middles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Facilitative middles in Russian mainly present the degree to which the object of the underlying transitive verb (promoted to the position of syntactic subject) is likely to be put into action. Therefore, the facilitative middles consist of a subject (the object of the underlying transitive verb), a present tense form of a reflexive verb derived from an imperfective transitive verb, and generic agent that is not explicitly expressed. In addition, many middle constructions combine with adverbial phrases of manner that indicate how an action is carried out.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facilitative middles in Russian, focusing on subject, verb, agent, and adverbial phrases, and analyzes the attributes of Russian facilitative middles through comparison with related constructions.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attributive meaning of facilitative middles is derived from the specific tense aspect form of the verb, namely the present imperfective verb form. Thus, when the verb tense is changed to the past,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the action is weakened and when the aspect of the verb is changed to the perfective, the genericity and conventionality of the action disappear, consequently shifting to the interpretation of anticausative constructions.
    Second, while generic agents cannot be specified and are only implied, non-generic agents can be specified through the “у” prepositional phrase. However, in this case, the cause of and responsibility for the action performed can be ascribed to the agent expressed through the prepositional phrase, not the subject; hence, the sentence obtains an interpretation similar to the passive.
    Third, facilitative middles have modal meanings of potential and possibility in the sense that the object is likely to be subjected to an action. In particular, facilitative middles combine with various adverbial phrases with manner meanings.
    Finally, there are the similar constructions that promote arguments other than the object of the underlying transitive verb as the subject. These are instrument-subject constructions and antipassive. These constructions are formed from a much narrower range of verbs than middle constructions. Therefore, the Russian middl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assive, anticausative, antipassive, instrument-subject constructions and generalized personal constru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tense aspect form of verb, the genericity of the agent and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among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