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숭례문과 원형 담론 (Sungnyemun and the Discourse of the Origin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9.08
31P 미리보기
숭례문과 원형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9호 / 9 ~ 39페이지
    · 저자명 : 정수진

    초록

    이 글은 기왕의 유형문화유산 보수작업에서 자명시해 온 원형 보존의 원칙을 재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는 그간 무형문화재의 원형 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무형문화재를 규정하는 원형 개념이 무형문화재의 특성과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역사적으로 구성되어 온 것임을 명확히 밝혔다.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숭례문과 원형 담론의 관계성을 짚어보았다.
    우선 로웬덜(D. Lowenthal)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구에서 문화유산을 보존한다는 관념 자체가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성립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유산의 보존 관념은 르네상스 이후의 역사적․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채롭게 구성된 과거와의 관계 설정 방식, 혹은 과거 유물에 대한 미적 취향과 긴밀히 맞물려 형성된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 초의 유례없는 사회적 격변 속에서 유물 보존에 대한 인식이 급부상했는데, 각종 국제회의와 국제기구 및 거기서 채택된 헌장들이 유물의 진정성과 원형을 유물 보존의 원칙으로 구축한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이었다.
    다음, 이 원형 보존의 원칙이 한국 사회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또 구성되어 왔는지를 고찰했다. 구체적으로 바로 얼마 전 한국 사회를 충격으로 몰아넣었던 숭례문 화재 사건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 사건 전후로 숭례문의 원형 담론이 사회적으로 어찌 구성되었는지, 나아가 그러한 담론이 화재 이후의 복원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어떻게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복원 이후에 불거진 각종 문제점과 사건들 속에서 그 원형 담론과 원형 보존의 원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천착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think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which has been considered self-evident with regard to the repair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I have been working on the discourse of the original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refore, I emphasized that the concept ‘the original’ does not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has been constructed historically. In this article, I applied this perspective and recognition to tangible cultural heritage.
    First, with reference to D. Lowenthal’s discussion, I have consider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idea of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in the West. As a result, the notion of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could be understood to be a historical product form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way of establishing relations with the past or the aesthetic taste of the past relics, which was forme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following the renaissance. In particular, the recognition of the preservation of architectures has risen rapidly in the unprecedented social upheaval of the early 19th century, and it has been since the 20th century that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charters adopted and established the authenticity and original type of the architectures as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Next, I examined how the principles were applied and organized in Korean society. Especially, focusing on the Sungnyemun fire incident, which shocked Korean society just recently, I looked at how the Sungnyemun’s discourse of the original type was socially constructed before and after the incident, and how it affected the restoration process. In addition, I examined what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and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was in the various problems and incidents that occurred after the rest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