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발심체(未發心體): 전장으로 들어가는 좁은 문(門) - 이간(李柬)의 경우 - (Wèifāxīntǐ(未發心體): A narrow gater into the front - In the case of Leegan(李柬))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12
34P 미리보기
미발심체(未發心體): 전장으로 들어가는 좁은 문(門) - 이간(李柬)의 경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3권 / 203 ~ 236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이 글은 미발심체라는 낱말에 개입된 무의식적 가정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미발심체는 연관된 다수의 가정을 필요로 한다. 첫째 규범성의 원천이 인간에게 내재해야 한다. 둘째 내재하는 규범성은 도덕적 사건의 인과적 사슬에서 가장 처음에 위치한다. 셋째 마음에 실재한다고 가정된 도덕성은 「존재의 대연쇄」라는 은유적 이해 양식에 따라 최고의 존재 양식으로 고양된다. 넷째 몸과 마음은 이원적이다. 미발심체와 같은 것을 찾으려는 노력은 유학사에서 반복된 것이다. 결국 미발심체의 가정들은 하나의 철학적 질문을 제기한다. ‘인간의 내부에서 이러한 규범적 실체를 찾도록 강제하는 유학사의 긴장과 갈등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은 작게는 한국유학, 크게는 유학 자체의 성격논쟁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학술적 탐구를 암시한다. 결국 미발심체라는 낱말은 18세기 조선에서 율곡학파에 속하는 일군의 학자들이 탄생시킨 철학적 조어이지만, 그 학술적 의의는 21세기의 우리에게 논쟁적인 한 담론의 출발을 예시하고 있다. 연관된 몇 가지 선행연구들의 성과를 돌이켜 볼 때 이 전장으로 들어가는 좁은 문은 아직도 열려있으며, 논쟁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consider unconscious assumptions involved in the word Wèifāxīntǐ(未發心體). Wèifāxīntǐ require a lot of associated assumptions. First, The source of normativity must be inherent in human being. Second, The inherent normativity is first placed in the causal chain of moral events. Third, Morality supposed to be real in the mind is elevated to the highest form of existence according to the metaphorical understanding style of 「the great chain of being」. Forth, Body and mind are dual. Efforts to find Wèifāxīntǐ are repeated in Confucius history. Ultimately, Wèifāxīntǐ’s assumptions raise a philosophical question. 'What is tension and conflict of Confucius history that is forced to find this Normative substance from the inside of Human Being?' This question implies an academic inquiry that can be called the character argument of Confucianism. After all, this word is a philosophical coinage created by a group of scholars belonging to the Yulgok school in the 18th century Joseon. But it illustrates the start of a controversial discourse to us in the 21st century. The narrow gate to this battlefield is still open, and the controversy is still ongo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