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雲門文偃 三句에 나타난 선사상 (The idea of Seon in Unmun Muneon’s three phras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6
23P 미리보기
雲門文偃 三句에 나타난 선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2호 / 171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현배

    초록

    혜능의 무념위종(無念爲宗)을 계승하여 당말(唐末)에 선종오가(禪宗五家)를 형 성하였다. 오가의 발전 가운데 설봉의존(雪峰義存)의 문하에 운문종과 법안종 이 형성되어 선종의 절정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운문종의 종풍을 ‘운문천자(雲 門天子)’라고 평하는데, 간결하고 분명한 학인 접화(接化)의 모습을 가리킨 것이 다. 운문을 개오(開悟)한 스승은 목주도종이지만, 그의 지시로 설봉을 스승으 로 삼은 독특한 기연을 가지고 있다.
    운문 선문답의 특징은 ‘일자(一字)’로 대답하는 선문답이 특히 유명하다. 그 가운데 ‘삼구(三句)’는 운문종의 참선 방법에 대한 개괄이며, 운문종의 종풍과 선학을 함축시킨 말이다. 사물의 본체에 갖추어진 보편성을 ‘함개건곤(函蓋乾 坤)’으로 제시하고, 심념(心念)의 정식(情識)을 절단하는 것을 절단중류(截斷衆 流)로 설하며, 학인의 근기에 맞춘 응기설법(應機說法)을 수파축랑(隨波逐浪)으 로 규정하는데, 운문의 법사(法嗣) 덕산연밀(德山緣密)이 운문선사의 말을 분리 해서 삼구어(三句語)를 제창하였다. 이는 후대에 ‘운문삼구’로 알려지게 되었고, 운문종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오가(五家)에서 널리 상용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운문삼구’의 선사상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five families of the Seon sect (the Zen sect), inherited Hyeneung's doctrine of No-thought, were formed at the end of the Tang Dynasty, Among the development of the five families the Unmun sect and the Beopjong sect were established under Seolbong Yi-jon, reaching the height of the Seon sect. In general, the customs of the Unmun sect is likened to the idioms that ‘Unmun is the Emperor (雲門天子)’, which refers to the simple and clear method for enlightening the disciples. The teacher who led Unmun to enlightenment is Mokju Dojong, but it is an irony of fate that he instructed Unmun to take Seolbong as his teacher.
    The dominant feature of Unmun’s Seon dialogue is to answer with ‘one chinese character. Especially, ‘three phrases (三句)’ is an overview of the Seon meditation methods of the Unmun sect, and implies the customs of the Unmun sect and its studies. He presented the universality of the substantiality of things as the first phrase of 'completely covering heaven and earth (函蓋乾坤)', and explained severing discrimination from the sensory perception as the second one of ‘cutting the stream of delusions (截斷衆流)’, A skillful expedient teaching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learners (應機說法) is defined as the third one of ‘following the wave and flow together (隨波逐浪)’. Deoksan Yeonmil, inherited Unmun’s teaching, divided the words of Unmun and proposed the three phrases. Later, it became known as ‘Unmun’s three phrases’,and widely used not only in the Unmun sect, but also in the entire five families, which shows its significance of the Seon id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