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門)을 둘러싼 의례와 신앙 (Ritual and Religious Interpretations on the Gate(Mu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8.06
29P 미리보기
문(門)을 둘러싼 의례와 신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16호 / 255 ~ 283페이지
    · 저자명 : 최명림

    초록

    문(門)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출입하는 통로이자 안과 밖, 그리고 이쪽과 저쪽을 구분하는 경계의 지표이다. 일차적으로 집에는 집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대문을 비롯해서 집안 공간인 각각의 처소마다 그 처소를 구분 짓는 문들, 즉 안방문, 부엌문, 다락문 등 다양한 문들이 존재한다. 마을의 경우는 마을의 경계를 구분지어 주는 동구(洞口)와 같은 경우가 특별한 장치가 없음에도 마을의 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심지어는 도성의 출입구인 성문의 경우도 문의 개념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문이라고 하는 것은 출입구라는 기본적인 개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 출입구는 비단 사람만의 출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귀신이라든가 질병 등의 비가시적인 존재의 출입도 포함하는 출입구이다.
    문신(門神)은 의례와 신앙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속에서 다양한 직능을 수행하고 있다. 영제와 같은 국가의례에서도 문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국가의 중요한 문에서 문 밖의 산천신에게 제를 지냄으로써 국가의 불운을 해소하고자 하였고, 출산, 상례, 혼례, 제례 등의 많은 민간신앙과 통과의례에서도 문은 안과 밖의 구분 및 벽사적인 의미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듯 문신에 관한 기록은 처용설화와 도화녀비형랑설화, 그리고 제주도 문전본풀이를 통해서 문신으로 좌정하게 된 내력을 찾아볼 수 있다.
    문은 출입의 기능뿐만 아니라 질병이나 화(禍)와 같은 좋지 않은 것들의 출입을 막아 인간을 보호하려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문에는 문신이 좌정해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 민간신앙 속에 나타나는 문신의 의미는 주로 좋은 것을 받아들이고 나쁜 것을 물리치고자하는 벽사진경의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외부의 악한 기운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해 기능함으로서 내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구실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여러 곳에서 보이는 문 혹은 문신에 관한 내용을 보면 앞에서의 분류와 같이 의미를 뚜렷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들이 많다. 결국 문이나 문신이 갖는 의미는 다양한 장치들을 통하여 좀더 행복하게 살기를 기원하는 인간의 소망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민족은 문이라는 하나의 물리적인 지표로 인해 집 혹은 마을, 더 나아가서는 나라, 국가의 내부적인 결속력을 강화하게 되었다. 그리고 문신에 대해서는 하나의 신앙과 숭배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문화적인 전통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신에 대한 인식이 다른 민속현상과 마찬가지로 옅어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것이 가시적이든 비가시적이든 간에 문은 현대에도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하여 문신에 대한 전반적인 정리를 통하여 문신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Gate(mun) is a kind of physical indicator to distinct the inner and outer spaces and here and there as well as a passageway for comings and goings. In case of house, there are a series of gates ranging from the main gate making a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o specific inner-house doors such as Anbangmun(door of lady’s quarter), Bueokmun(kitchen door), Darangmun(attic door) and so on. In addition, Donggu, village gate is considered as a village gate although it does not have a specific installation required. We can also include gates of the castle town in this category. In other words mun has had a fundamental concept as a way in-and-out. This concept, however, implies comings in-and-out not only by human beings but by invisible existences such as ghosts and diseases.
    Gate gods so-called Munsin appear in various ritual and religious events and play different role in each case. In Yeongje, a national shamanic ritual, mu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praying for a peaceful reign by holding a ritual to the god of nature(Sancheonsin) at one of the major national gates; in cases of childbirth, funerary or wedding ceremonies and ancestral memorial services, mun functions not only as a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ut as a symbol to expel evil spirits. This paper also show how the gate god came to be settled in this context by examining some literal records such as stories of 'Cheoyong' and 'Dohwanyeo and Obirang’, and Munjeonbonpuri from Jeju island.
    As described earlier, mun carries out protective mission to keep bad things such as diseases and disasters off as well as its authentic function. Mun has been expected to have munsin who is believed to accept good things and expel bad things by reflecting Byeoksajingyeong in folk beliefs. Also through protecting the inner space, it reinforce the inside solidarity.
    If we take a look at mun or munsin in various source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s senses as it was in the previous classification. All things considered, we can conclude that mun and munsin with different measures reflect sincere desires for living happier lives.
    With this physical indicator, mun, Korea has reinforced its solidarity of different communities such as local villages and sometimes the nation itself. Concerning munsin, it has become a cultural tradition rather than an object of religious adoration. Even though it is true that this awareness of munsin has been gradually fading away as other folk phenomena, it does exist invisibly or visibly in the modern times.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reestablish awareness of munsin by examining existing materials about i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