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조의 상원사중창과 <上院寺重創勸善文>에 대한 검토 ‒ 현존 最古의 한글 필사본인 <상원사중창권선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ejo’s Resurrection of Sangwon-sa Temple and Review of Sangwon-sa Jungchang Gwonseonmun (上院寺重創勸善文) - Centering on Sangwon-sa Jungchang Gwonseonmun , the Oldest Extant Korean Manuscript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7.02
33P 미리보기
세조의 상원사중창과 &lt;上院寺重創勸善文&gt;에 대한 검토 ‒ 현존 最古의 한글 필사본인 &lt;상원사중창권선문&gt;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1호 / 247 ~ 279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상원사중창은 信眉의 건의에 의해서 世祖가 주도한 조선전기의 最大佛事 이다. 상원사의 落成式과 관련해서 세조는 오대산에 행차하고, 特別試를 개최하는 등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다음의 4가지 미해결 과제를 해결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첫째, 신미가 왜 하필 상원사중창을 주장하는지에 대한 부분. 이 문제는 신미가 涵虛를 계승한 懶翁門徒의 입장에서, 몰락한 상원사를 좌시할 수 없었기때문으로 판단했다.
    둘째, 세조가 작성한 ‘功德疏’가 언제 찬술된 것인지에 대한 시기문제. 본고는 『세조실록』의 기록을 면밀히 검토해서, 이 시기를 1464년 12월 22일에서1465년 1월초 사이로 재규정했다. 이는 기존의 연구를 1달 이상 앞당긴 성과이다.
    셋째, <상원사중창권선문>의 <한글본>에 등장하는 여성 施主者의 명단에서, 직위가 없이 이름만 등장하는 사람들의 문제. 본고에서는 이들 여성들이특수신분자일 것으로 추정하고, 이름에서 확인되는 글자의 특징상 귀족출신의 비구니라는 관점을 제기했다.
    넷째, <한글본>이 <한문본>의 앞에 위치하는 배열의 순서문제. 이는 두 가지로 해석했다. 하나는 信眉 등이 한글창제 및 유통에 직접적으로 간여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한글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일 수 있다는 측면. 둘은 상원사중창의 근본적인 제창자인 世祖妃 貞熹王后에 대한 보은과 배려가 작용했다는 판단이 그것이다.

    영어초록

    The reconstruction of Sangwon-sa Temple was the most ambitious Buddhist project undertake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was led by King Sejo bythe suggestion of Sinmi (信眉). King Sejo was so absorbed in the resurrection of Sangwon-sathat he himself went to Mt.
    Odaesan for the completion ceremony.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resolve the following 4 issues on the basis of former studies: The first is why Sinmi insisted to reestablish Sangwon-sa. It seems because Sinmi could not overlook the decrepit state of Sangwon-sa that he experienced as a student of Master Naong who succeeded Hamheo (涵虛).
    The second is exactly when King Sejo compiled ‘Gongdeogso (功德 疏).’ After closely examining the records of Sejo Sillog, this paper suggests a new date between December 22, 1464 and early January 1465.
    The third is the list of female contributors to the Korean version of Sangwonsa Jungchang Gwonseonmun whose names were listed without their respective titles. In this paper, the women are surmised to have held special positions or, more concretely, were female monks from noble families according to the literal characteristics of their names.
    The fourth is the arrangement of the Sangwonsa Jungchang Gwonseonmunin which the Korean text comes before the Chinese version.
    This was interpreted in two ways. First, as a person who had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and propagation of the Korean alphabet, Sinmi could express his confidence about the new system of Korean writing as such. Second, it could express the appreciation and concern to Queen Jeonghee who was the wife of Sejo and the main supporter for the reformation of Sangwon-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