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帝强占期 沈衡鎭의 『朝鮮歷史千字文』硏究 (Analysis of Thousand Character Text of Joseon History(朝鮮歷史千字文) by Shim Hyung-Jin(沈衡鎭),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9.10
26P 미리보기
日帝强占期 沈衡鎭의 『朝鮮歷史千字文』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22호 / 219 ~ 244페이지
    · 저자명 : 정욱재

    초록

    본고는 沈衡鎭이 저술한 『朝鮮歷史千字文』을 분석한 논문이다. 심형진은 한학과 일본어
    에 능숙하며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자발적으로 협력을 했던 일제협력유림 중의 한 명이었
    다. 그는 대한제국기에 탁지부 견습생으로 선발되었다가 탁지부 주사로 서임되어 관료생활
    을 하였다.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심형진은 일제 치하에서 충실하게 관료 생활을
    하였다.
    심형진은 1921년에 ‘내선융화’를 주장하는 글을 『朝鮮』에 기고하였고, 이후 일본의 침략
    전쟁과 고위관료를 찬양하는 한시 등을 꾸준히 작성하는 등 일제강점기동안 일제에 영합하
    는 문필 활동을 하였다. 그는 1928년 『조선역사천자문』을 광주(光州)에서 간행하였다. 『조
    선역사천자문』의 본문은 단군조선부터 대한제국까지 있었던 각종 역사적 사실들을 중복되
    지 않는 1,000자 한자로 표현하였다. 글자만 보고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은 주해란을 두어
    역사적 배경, 상황 등을 설명하였다. 『조선역사천자문』은 심형진이 당시 간행되었던『東史
    年表』, 『三國史記』, 『三國遺事』, 『高麗史』 등 각종 역사서들을 참고하여 기록하였다. 그래
    서 내용이 비교적 다양하고 포괄적이었으나, 필자의 주관적인 해석은 거의 드러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역사천자문』을 통해서 나타난 심형진의 역사인식은 우선 단군과 고조선을 인정하
    였다. 또한 기자조선도 실제 있었던 역사로 생각하였는데 이는 조선시대 유림의 역사인식
    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불교 숭상에 따른 폐해와 고려 왕실의
    윤리에 맞지 않는 결혼, 조선시대의 당쟁 등에 대해 비판적 인식을 드러냈다. 그러나 『조선
    역사천자문』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곳은 마지막 부분으로 조선 민족이 일본의 보호 아래에
    번성하기를 바라는 구절이었다. 이는 심형진이 주장했던 내선융화의 다른 표현이었다. 사
    실 마지막 부분은 심형진의 친일 행적이 알려진 것과 동시에 엄수동의 예리한 안목이 더해
    지지 않았다면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곳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d Thousand Character Text of Joseon History(朝鮮歷史千字文, henceforth 『the Text』) by Shim Hyung-Jin(沈衡鎭).
    Shim Hyung-Jin, fluent in Japanese and expert in Confucism, was one of the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who voluntarily collaborated with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In Daehan Jeguk period, Shim was selected as one of the apprentices of Takjibu, and began his official career as jusa of the Takjibu. After Japan occupied Daehan Jeguk(大韓帝國), he devoted himself to his own official career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21, Shim wrote an article emphasizing the ‘Fusion of entities between the Joseon and Japan proper(內鮮一體)’ to the Joseon(朝鮮), and continued to publish Chinese poetries that praised the Japanese invasions and the high officials in the Japanese Occupational government, thus ingratiating the favor of Japanese imperialism, till the end of the Occupational government.
    Shim published the 『the Text(朝鮮歷史千字文)』 at Gwangju in 1928. The contents of 『the Text(朝鮮歷史千字文)』 described various historical events from Dangun Joseon(檀君朝鮮) to Daehan Jeguk(大韓帝國), using 1000 Chinese characters without elapsing each of them. In this acticle, writer put annotations for historical backgrounds and circumstances etc., to which the readers can't understand meanings from the texts themselves.
    『the Text(朝鮮歷史千字文)』 was based on various history books, such as Dongsa yeonpyo(東史年表), Samguk sagi(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etc. The contents were, therefore, relatively various and comprehensive, but rarely revealing Shim's personal interpretations. In 『the Text(朝鮮歷史千字文)』, Shim admitted the existence of Dangun and Gojoseon(古朝鮮). He also regarded the Gija Joseon(箕子朝鮮]) as historical facts, which coincided in understandings of the Confucian community in Joseon period. He criticized the disadvantages of the Buddhism worship and unethical royal marriages in the Goryo Dynasty, and factional strife in the Joseon Dinasty.
    Most problematic contents were, however, the sentences hoping the people of Joseon prevail under the protection of Japan, in the last part of 『the Text(朝鮮歷史千字文)』. This was another expression of ‘Fusion of entities between the Joseon and Japan proper(內鮮融和)’, which Shim stressed. In fact, without knowing Shim's pro-Japanese contributions and Um Soo-dong's fine eyes, would not have been analyzed prop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