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익충돌의 판정기준과 ‘법인격’의 고려여부, 회사기회 유용법리와 회사법상 충실의무법리의 전개 (A conflict of interest claim and a defence of a separate legal personality, and Korean development of directors' fiduciary law in corporate opportunity context)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2
40P 미리보기
이익충돌의 판정기준과 ‘법인격’의 고려여부, 회사기회 유용법리와 회사법상 충실의무법리의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사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사판례연구 / 37호 / 595 ~ 634페이지
    · 저자명 : 이중기

    초록

    이사의 이익충돌의 판정기준으로 ‘실질적’ 기준을 적용하여야 하는가 아니면 ‘형식적’ 기준을 적용하여야 하는가? 대상판결은 이사의 자기거래 인정과 관련해서는 “회사” 혹은 “회사의 손실”을 판단함에 있어 형식적으로 판단해 이사를 선임한 ‘회사’와의 거래만 자기거래로 보고 ‘자회사’와의 거래는 자기거래가 아니라고 배척하였고, 또한 ‘회사의 손실’에는 ‘자회사의 손실’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이에 반해, 이사의 경업거래와 관련해서는 “회사” 혹은 “회사의 이익”을 실질적으로 판단해 이사의 ‘경업회사’에 대한 지배주식취득은 이사의 경업행위에 해당하지만 경업회사에 의한 ‘공동의 이익추구’로 인해 이익충돌은 해소된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대상판결의 논리는 이익충돌의 판정기준에 대해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먼저 형식적 기준을 관철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자. 대법원이 자기거래 인정과 관련해 “회사” 혹은 “회사의 손실”을 판단함에 있어 형식적으로 판단해 “자회사의 손실”이 있더라도 “자회사의 손실”은 자기거래규제가 대상으로 한 “회사” 혹은 “회사의 손실”이 아니고 “회사와의 자기거래”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배척하였다면, 이러한 논리는 경업거래의 인정과 관련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즉 경업거래금지의 위반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도 “회사” 혹은 “회사의 이익”은 형식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회사”의 “경업회사”는 실질적으로 회사의 지점처럼 취급되더라도 지점이 아닌 이상 “경업회사”이고, 이사에 의한 “경업회사의 지배주식 취득”은 경업행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반대로, 대법원이 경업거래의 인정과 관련해 “회사” 혹은 “회사의 이익”을 실질적으로 판단해 “회사”의 “경업회사”이지만 실질적으로 “회사”의 지점처럼 운영되었기 때문에 “회사”의 일부로 볼 수 있고, 경업회사에 대한 지배주식취득은 경업행위에 해당하지만 공동의 이익추구를 통해 이익충돌이 해소되었다고 판단했다면, 이러한 논리는 자기거래의 인정과 관련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사의 자기거래가 성립하는 “회사”의 의미를 실질적으로 판단해 그 회사 뿐만 아니라 회사가 지배하는 “자회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하고, “회사의 손실”의 의미도 회사가 지배하는 “자회사 손실”을 포함하는 “실질적 손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사의 충실의무는 이사와 ‘회사’간의 실질적 이익충돌을 금지하기 위한 조문이다. 따라서 이사와 ‘회사’간의 이익충돌은 실질적으로 판정되어야 하고, 충돌하는 ‘회사’의 이익에는 회사 법인격내에 있는 이익 뿐만 아니라 ‘회사’가 지배하는 외부의 이익도 포함된다. 그 결과, 이사의 자기거래 여부, 경업여부 기타 이익충돌의 판정에 있어 법인격의 매개는 유효한 방어방법이 되지 못한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대법원이 경업거래와 관련해 설시한 이익충돌의 판정기준이 자기거래에 대해 설시한 기준보다 타당하다.
    또한 대상판결은 사업기회와 관련해 개정전 회사법에 ‘회사기회’의 유용금지에 대한 명문의 규정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기회’에 대한 이사의 충실의무를 인정하였다. 이러한 대상판결은 대법원이 제398조 자기거래, 제397조 경업금지 등 상법이 구체적 충실의무유형으로 예시한 의무와 다른 유형의 충실의무를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도 대법원이 다양한 유형의 구체적 충실의무를 상법 제382조의3이 규정한 이사의 ‘추상적’ 충실의무 조항 혹은 ‘준수탁자’에 대한 신탁법 제34조 제1항 제4호의 ‘개방적’ 충실의무 조항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case study investigates several conflict of interest issues arising in a recent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in which a parent company gave up exercising preemption rights for new issues of a complete subsidiary running competing business, and one director of the parent company acquired those given-up shares, thus becoming the controlling shareholder of the subsidiary. In this case, minority shareholders in the parent claimed that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shareholdings the director violated both the prohibition of self-dealing and the prohibition of competition. The Supreme Court rejected both claims, and declared that (i) since the very company he made the transaction with is the subsidiary rather than the parent, the self-dealing regulation is not applicable to his transaction, and that (ii) although purchasing the given up shares in the subsidiary is a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against competition, its conflicting nature may diminish in this case if the subsidiary was run by the parent as a practical branch of the parent.
    This case study raises the question whether the test the Supreme Court applied to each conflict situations can be reconciled with. In deciding the self-dealing issue, the Court applied a 'formative' test, declaring that since the company the director made the transaction with is the subsidiary rather than the parent, the self-dealing regulation does not apply to this transaction. On the other hand, in deciding the issue of competition, the Court applied a 'substantive' test, declaring that since the competing subsidiary is run by the parent practically as its branch, his obtaining controlling shareholding in the subsidiary may not be regarded as real conflicting competition.
    It is argued here that a better standard for judging directors' conflict of interest should be 'substantive' rather than formative, and that substantive test be applied uniformally both to prohibition of self-dealing and prohibition of competition.
    Another point this case study deals with is that the Court has expressly recognized a specific category of fiduciary duty in the name of 'prohibition of corporate opportunity' although the old Korean Commercial Code did not specifically stipulated such corporate opportunity doctrine. The Court's willingness to recognize various category of fiduciary duties is essential in developing Korean fiduciary law, and it is hoped that the Court continue to pursue actively detailed fiduciary doctr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