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意思無能力者의 權利의 消滅時效 -消滅時效 停止 규정의 類推適用을 중심으로- (The limitation period for rights of a person in the mental incapacity)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02
64P 미리보기
意思無能力者의 權利의 消滅時效 -消滅時效 停止 규정의 類推適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사판례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사판례연구 / 34호 / 119 ~ 182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호

    초록

    대법원 2010. 5. 27. 선고 2009다44327 판결은, 교통사고로 인하여 지속적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원고가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8년이 지난 뒤에서야 그 무렵 취임한 법정대리인을 통하여 피고 보험회사를 상대로 그 교통사고를 원인으로 한 상해보험금 지급을 청구한 사안에서, 비록 사고가 발생한 날부터 2년의 소멸시효가 완성하였지만 피고 보험회사가 소멸시효 항변을 하는 것은 소멸시효의 남용에 해당하여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이 사건에서 피고 보험회사의 소멸시효 항변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다. 소멸시효 제도가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권리자에게 소멸시효가 완성하기 전에 자기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합리적인 기회가 반드시 보장되어야 하는데, 원고는 교통사고 이후 계속해서 심신상실로 인한 의사무능력 상태에 있었으므로 스스로 자기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법적으로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멸시효 남용의 법리에 의해 그러한 결론을 도출한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사건에서 원고는 의사무능력자로서 자기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였지만, 원고가 소멸시효기간이 경과하도록 그 권리를 행사하지 않거나 못한 것이 피고 보험회사 측의 일정한 기여로 인한 것이라고 보기는 부족하므로 피고 보험회사의 소멸시효 항변을 소멸시효 남용이라고 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살피건대, 권리자가 의사무능력 상태에 있어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 법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는 무능력자를 위한 시효완성 정지 규정인 민법 제179조를 유추적용하여 권리자를 소멸시효 완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해석할 경우 의무자의 법적 지위가 불안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소멸시효가 완성하였다고 믿은 의무자보다는 권리행사의 합리적 기회를 갖지 못한 무능력자를 더 보호하는 것이 우리 민법의 근본 결단에 합치한다.

    영어초록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2009Da44327 delivered on May 27, 2010 ruled, in a case where the plaintiff in the persistent vegetative state from a car accident filed a lawsuit for insurance claim against the defendant, insurance company that sold the plaintiff accident insurance, about 8 years later after the day when the car accident had happened, that though the limitation period for insurance claim, 2 years beginning on the day after the day perils insured takes place, has expired, it should not be permitted for the defendant to assert it as a defence, because the defence constitutes an abuse of the limitation period as violation of good faith.
    I think that it is right to dismiss the limitation period defence of the defendant. In order that the limitation period should be justified, the obligee must have the reasonable possibility to pursue its rights before it can be deprived of them as a result of the lapse of time. In this case, it has been legally impossible for the plaintiff to exercise his right by himself due to his mental incapacity. Therefore, it is unjust to deprive the plaintiff of his right by reason of the passage of time.
    However, I consider it is not reasonable to draw the conclusion from the theory of abuse of rights. This is because, in this case, the state in which the plaintiff has not been able to exercise his right without a representative for him has not been caused by some contributions of the defendant.
    In my opinion, in a case where the obligee can not exercise his/her rights because of his/her mental incapacity, it is right to protect the obligee from the expiration of the limitation period by analogical interpretation of Article 179 of the Korea Civil Act that provides "If a person under disability has been without an agent by law within six months prior to the maturity of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prescription shall not become complete against him for a period of six months from the time when he becomes a person of full capacity or when an agent by law assumes office." As described above, the legal position of the obligor would become unstable, but it is in conformity with the basic principle of the Korea Civil Act that to protect the incapacitated who has not had reasonable chance to exercise his/her rights is more important than to protect the obligor who comes to trust the expiration of the limitati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