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콤플렉스(Complex)를 통해서 본 고려의 사회와 인간 - 文ㆍ武의 차별을 중심으로 - (The Goryeo Society and People Observed by Inferiority Complex - Focusing on the Discrimination of Literary Officers and Military Officer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1.06
37P 미리보기
콤플렉스(Complex)를 통해서 본 고려의 사회와 인간 - 文ㆍ武의 차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02호 / 1 ~ 37페이지
    · 저자명 : 박진훈

    초록

    본 연구는 고려시대 사람들이 지녔던 열등콤플렉스를 文人과 武人의 차별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성종 이후 유교적 정치이념에 근거하여 지배체제 정비가 시도되어, 文治主義가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문인들이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가운데 이들에 의해 門閥이 성립되었다. 문벌들은 다른 지배집단과는 구별되는 차별의식을 형성하고 이를 인간관계, 사회관계에서 표현하였다. 이러한 행위는 주로 오만과 교만으로 표현되었는데, 이러한 차별대상의 직접적 피해자는 주로 무인들이었다. 무인들은 문인들의 이러한 행동에서 상처받고 피해의식 즉 열등콤플렉스를 가지게 되었다.
    학문 능력을 가지지 못한 무인들은 문벌이 주도하는 사회에서 배제되었다. 문인과 무인은 사회적으로 유리되었고, 심리적 장벽이 두텁게 쳐졌다. 더군다나 문인과 무인의 차별적 장벽을 뛰어넘을 수 없게 되자 무인들의 열등콤플렉스는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종대에 들어와 문인들의 무인들에 대한 차별적 행동이 직접적으로 표출되자, 무인들의 좌절감과 분노, 열등콤플렉스는 걷잡을 수 없는 것이 되었다. 결국 무신정변이 발생했을 때 이는 문인들에 대한 극단적이고 잔혹한 가해로 표출되었다.
    무신정변 이후 무인들이 문인보다 우위에 서게 되었다. 하지만 武보다 文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는 풍토는 변하지 않았다. 학문을 하는 문인들은 학문을 통해 올바른 도리를 알고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인 반면 그렇지 못한 무인들은 올바름을 알지 못하며 자기 절제를 하지 못하는 존재라는 인식이 계속되었다. 따라서 무인들이 문인들에 대해 가지는 열등콤플렉스는 극복되지 못했다.
    하지만 한편에서 문인들의 자기반성이 이루어지면서 무인에 대한 문인들의 비하의식이 완화되었고, 무신정권을 거치면서 무인들의 힘과 존재를 인정하고 긍정하게 되었다. 또한 儒學의 발전과 성리학의 도입으로 새로운 도덕규범률과 선비상이 제시되었다. 학문을 하여 올바름을 알고, 忠과 孝를 실천하는 사람을 선비로 규정하였다. 따라서 무인이라고 하더라도 학문을 하고 忠ㆍ孝를 실천한다면 선비로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무인이라고 하더라도 본인의 노력에 따라 선비가 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는 무인에 대한 차별의식을 완화시키고 무인들의 열등콤플렉스를 극복하게 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rveys the discrimination of literary officers and military officers in the light of inferiority complex that Goryeo people used to have. Since King Seongjong, the ruling system was arranged on the basis of Confucius Political Ideology, enforcing the civil administration system. Thus, the literary officers led the political situation, establishing the powerful literary families. Each literary family formed a particular consciousness different from other ruling groups and displayed it in the human and social relations. It was mainly expressed with pride and arrogance, and the direct victim of such discrimination was mainly soldiers. Hurt by rudeness of literary officers, soldiers came to have victim mentality or inferiority complex.
    Without the literary ability, soldiers used to be excluded from the literary-ruling society. Literary and military officers got socially separated more and more and the psychological barrier became higher and higher. When the discrimination between literary and military officers became incurable, the inferiority complex of soldiers went to extremes. In this situation, when the literary officers showed contemptible behaviors to soldiers directly in Eujongdae, their inferiority complex along with frustration and rage could not be controlled. Finally, it caused a political upheaval by soldiers, who inflicted severe and harsh revenge to literary officers.
    After the political upheaval, the soldiers came to have a superior position to literary officers. But, never changed the climate that the literacy was valued higher than militarism. People continued to think that, while literary persons knew the right way through the literal exercise and tried to practice it, the soldiers ignored the way and thus could not do self-restraint. Therefore, the inferiority complex of soldiers toward literary officers could not be overcome.
    Meanwhile, in this process, literary officers came to have self-reflection and reduced their contemptible attitude toward soldiers. During the ruling by soldiers, they came to know the power and existence of soldiers and recognize it. An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and the introduction of Chu Hhi's idea, new moral rule and scholarly model were suggested. The tue scholar was thought to be the person who knew the rightness through the study and practiced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So, if even a soldier studied the way and practiced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he could be reckoned as a scholar. As the soldiers could become scholars through their endeavor, it provided the basis to relieve the discrimination against soldiers and to overcome the inferiority complex of soldi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