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어 무인칭 구문(impersonal constructions)의 통사적 구조에 대한 재고찰: A Minimalist (Russian Impersonal Constructions Revisited: A Minimalist Approach)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0.12
25P 미리보기
러시아어 무인칭 구문(impersonal constructions)의 통사적 구조에 대한 재고찰: A Minimalis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22권 / 4호 / 83 ~ 107페이지
    · 저자명 : 김형섭

    초록

    본 논고는 러시아어에 나타나는 무인칭 구문의 통사적 구조에 대한 재해석으로 형식 가주어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던 기존 연구의 토대와는 달리 러시아어에서도 언어 보편적인(language universal) 현상들이 나타난다. 문장의 구조적 특성상 형식 가주어가 심층구조에 존재하지만 가시성 조건(Visibility Condition)을 충족시키지 못해 음성적으로 실현되지 못한 결과로 해석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부르치오의 일반화(Burzio’s Generalization)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의미역과 대격 할당의 전제조건인 주어자리를 채워주어 다른 일반적인 문장과 동일하게 통사적으로 파생한다. 통사적 파생의 기본원리는 X-바 이론(X’-Theory)과 더불어, 탐침(Probe)과 목표(Goal) 사이의 자질공유 역할을 담당하는 메커니즘인 일치(Agree)이다. 영어에서는 주격과 [+지시성] 자질에 의해 형식 가주어 [it]이 발음되지만, 러시아어에서는 주격과 [-지시성]에 의하여 음성적으로 발음되지 않는 차이점을 보인다. 다시 말해, 가시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음성실현이 되지 않는 것이다. 무인칭문의 서술어는 주격의 부재로 인해 항상 3인칭, 단수, 중성의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를 디폴트(default)라 한다. 디폴트 일치는 형식적 일치의 하나로 성-수-격이 일치하는 문법적 일치와는 다르다. 주어의 최초 결합 장소는 VP 지정어 자리이며 필요에 따라 vP 지정어 또는 TP지정어 자리로 이동하기도 하고, 그 자리에 머무는 경우도 있다(in-situ). 능동자의 의미역 할당에 필요한 vP지정어 자리가 없는 비대격 동사는 VP 안쪽에서 의미역을 할당 받으며, 대격 할당을 받지 못하는 이유로 시제T로 부터 주격을 할당 받고 확대투사원리(EPP,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에 의해 문장의 주어 자리인 TP지정어 자리로 옮겨간다. 이와는 달리 러시아어의 무인칭 구문은 심층구조에서 주격주어를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대격을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가시화되지 못한 주격주어는 주절의 주어가 부동사구의 주어와 같을 때에만 생략하는 부동사의 사용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yntactic structure of impersonal constructions, i.e., absolute, dative, and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on the basis of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null expletive subject phonologically invisible on the specifier of TP. This approach is in contrast to the Russian tradition disapproving of a covert syntactic subject in nominative. This research is based on Burzio’s Generalization that a verb (with an object) case-marks its object if and only if it theta-marks its subject. In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like in personal sentences, the light verb little v possesses a full set of phi-features and T is not a defective functional category, which has EPP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nom] case, and uninterpretable [utense:] features. Being a functional category responsible for tense, nominative case, and EPP, T serves for syntactic derivation as Probe, which searches for its Goal with nominal features. This mechanism is called “Agree”, in which interpretable and uninterpretable features are shared reciprocally and valued among them. The reason why a subject on the specifier of TP in impersonal sentences does not spell out phonologically overtly is that it does not satisfy the Visibility Condition that case [case:] and referentiality [+/-Ref] features must be marked in order to be visible for an argument. In the case of Russian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these two requirements of [nom] and [-Ref] features prevent arguments from spelling out overtly. With regard to the position of a subject, the initial merge of a subject occurs on the specifier of VP and later moves up to the specifier of vP to receive a theta-role of [agent] or stay in the initial position without move (in-situ). Russian accusative impersonal sentences are different from unaccusative sentences in that the latter have a nominative subject, which originates from an internal complement within VP, while the former have a nominative subject, which cannot spell out phonologically due to the failure to satisfy the Visibility Condition. The lack of a nominative subject triggers the use of default agreement for Subject-Predicate Agreement. Default agreement is the last resort to solve non-agreeing cases between subjects and predicates. Default agreement is one of the two types of formal agreement: one is grammatical agreement [+AGR/+Ref] and default agreement [+AGR/-Ref]. Semantic agreement [-AGR] occurs due to semantic factors between an agreement controller and an agreement target. Furthermore, accusative impersonal verbs cannot form their own participles or gerunds. However, Covert null expletive subjects in impersonal verbs can serve as a controller of gerunds used in a subordinate clause. The use of gerunds entails the existence of their controllers in the matrix clause, since gerunds can be used only when subjects in gerundive clauses are the same as those of main clauses. The controllability over gerunds firml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phonologically covert null expletive subject in nomin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