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주택 의무보험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Compulsory Insurance for Multi-Unit Dwelling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06
40P 미리보기
공동주택 의무보험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보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보험법연구 / 17권 / 2호 / 233 ~ 272페이지
    · 저자명 : 김준엽

    초록

    우리 국민 대부분은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다. 좁은 공간에 다수가 밀집하여 거주하다 보니 화재를 비롯한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이에 대비하기 위해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 재난 배상책임보험, 승강기 사고 배상책임보험, 어린이 놀이시설 배상 책임보험 등의 가입이 강제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공동주택 의무보험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에서 특수건물의 소유자의 손해 배상 책임 이행을 위한 의무보험을 손해보험회사가 영위하는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으로 제한하고 있는 규정과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 미가입에 대한 처벌규정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공제기관들도 손해보험회사와 같이 각종 의무보험을 취급하고 있고, 의무보험을 규정하고 있는 타 법률에서 취급기관에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형평성을 고려할 때 신체손해배상특약부화재보험의 취급기관을 손해보험회사로 한정하는 것은 부당하며 미가입에 대한 제재도 지나치게 과중한 것으로 생각된다.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손해보험회사의 범위에 공제기관이 포함되도록 그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의무보험 미가입에 대한 처벌규정도 다른 의무보험의 제재와 같은 수준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법률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보험료를 부담하고 있는 임차인이 보험의 혜택에서 배제되는 문제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화재보험에서는 표준약관을 개정하여 임차인을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약관개정이 아직 재난보험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아 재난보험만 가입된 경우에는 법리와 판례상 임차인을 보호할 방안이 없다. 재난보험 약관에도 임차인 보호 조항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재난보험 약관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공동주택 배상책임보험과 구내치료비 담보 특약을 실손의료보험과 중복보상하는 경우 고의 사고 증가·과잉 진료 조장 등의 우려가 있음을 살펴보고, 실손의료보험 약관에 실손해를 보상하는 보험계약에서 받은 진료비는 비례 보상되도록 규정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Most Korean citizens reside in multi-unit dwellings. In such densely populated and confined spaces, there is a significant risk of accidents, including fires. Accordingly, compulsory insurance coverage is taken out for such incidents, for example, personal injury liability insurance for fires, disasters, elevator accidents, and children's playground accidents. This paper investigates several issues regarding compulsory insurance for multi-unit dwellings and offers measures for improvement. Regulations on liability for damages by owners of special buildings in relation to fire-related disaster compensation and insurance enrollment are examined,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provisions in the Act on the Indemnification for Fire-caused Loss and the Purchase of Insurance Policies that restrict the handling of bodily injury liability special coverage for fire incidents to insurance companies. Additionally, the justification behind the penalty provisions for non-enrollment in bodily injury liability special coverage for fire incidents is assessed.
    Institutions related to deductibles, like insurance companies, are involved in the administration of various compulsory insurances; however, notably, there are no limitations imposed on these institutions by other laws governing compulsory insurance. Consequently, it is unjust to confine the administration of personal injury liability insurance for fires solely to insurance companies when considering the principles of equity. Furthermore, the punitive measures for non-compliance with insurance requirements seem excessively seve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insurance companies specified in the Law on Personal Injury Liability Insurance for Fires to include institutions related to deductibles. Furthermore, it is deemed necessary to align the penalties for non-compliance with compulsory insurance with the sanctions imposed on other forms of compulsory insurance. Therefore, a proposal for legislative amendment is presented to address these concern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issue of tenants bearing the burden of insurance premiums while being excluded from the benefits of insurance. In the case of fire insurance, amendments to standard terms and conditions have been made to protect tenants. However, these amendments are yet to be incorporated into disaster insurance, leaving tenants without legal or precedential protection should disaster insurance be the only policy obtained. Therefore, a proposal for the amendment of the terms and conditions of disaster insurance is offered that includes provisions for tenant protec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identified potential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concurrent reimbursement of liability insurance for multi-unit dwellings and internal medical expense coverage riders that are part of comprehensive medical insurance. These concerns include the potential for an increase in intentional accidents and the facilitation of excessive medical treatment. Given these concerns,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 terms and conditions of comprehensive medical insurance be revised and proposes that medical expenses received to cover actual expenses should be compensated proportionally in accordance with insurance contra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험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