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자의 樂舞에 관한 小考 -『논어』 팔일무에 관해 - (A Study on the Music and Dancing of Confucius - 『the Analects of Confucius』 A Study on the parilmu. -)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7.01
19P 미리보기
공자의 樂舞에 관한 小考 -『논어』 팔일무에 관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7권 / 1호 / 341 ~ 359페이지
    · 저자명 : 엄진성

    초록

    이 논문은 이제까지의 詩와 樂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다르게, 문자와 언어 이전의 몸짓 그리고 인류의 가장 오래된 소통의 도구로서의 춤을 중심으로, 발생학적 관점에서 춤의 기원을 살펴보고(2장) 춤이라는 구체적 사례에 나타난 공자의 사유를 분석하면서, 감정과 소통 그리고 이들의 조화를 중심으로 문제를 풀어가고자 한다. 그리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
    공자의 악무는 첫째 그 대상이 인간에 있으며 그 목적은 소통에 있다. 둘째 악무를 통해 공자가 얻고자 하는 소통은 보편적 감정을 내용으로 가지며 따라서 인류의 보편적 공감을 바탕으로 삼는다. 셋째 공자의 인류의 보편적 공감이 형식적으로 완성된 것이 바로 禮이다. 따라서 공자의 악무는 예에 합치되는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공자의 악무에 대한 위의 태도는 『論語』「八佾」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1) 季氏가 팔일무를 누리는 것을 보았을 때(혹은 들었을 때) 그것이 형식에 맞지 않기 때문에 공자는 불편한 마음을 가질 수밖에 없다. 2) 공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계씨의 행위에 공감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은 예가 될 수 없다. 3) 형식적 측면에서 볼 때도 정당하지 못하고 감정의 측면에서 볼 때도 공감을 얻을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불통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舞가 될 수 없다. 공자에게 있어 내재적 심리인 감정과 외재적 형식인 禮가 상호 침투적인 관계를 가짐으로서 이 둘이 하나 될 때 비로소 樂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origin of dance from the genetic viewpoint, focusing on the gesture before the character and language, dance as the oldest tool for communication of humankind, differently from the other researches that so far focused on poem (詩) and music (樂) (chapter 2), analyzing the Confucius’ idea in the concrete example of dance, suggesting the emotion, communication, and harmony as the key words, intending to interpret from the viewpoint of harmony.
    Confucius’ dance firstly targets human, and the purpose is communication. Second, communication that Confucius intended to attain through dance gets moral emotion as the content, accordingly, based on human universal sympathy. Third, etiquette (禮) is the formal completion of Confucius’ human universal sympathy. Therefore, Confucius’ dance takes a form to coincide with the etiquette. Also, the above attitude toward Confucius’ dance can be confirmed in 『the Analects (論語)』 「Paril (八佾)」, 1) Confucius cannot but have uneasy mind to see (or hear) that Gye family (季氏) enjoy Parilmu, since that doesn’t coincide with the form. 2) That cannot be an etiquette, since everyone including Confucius cannot commune with Gye’s act. 3) In respect of formal aspect, it’s not fair, also, it cannot get sympathy from the emotional aspect, eventually becomes mis-communication. Accordingly, that cannot be dance (舞). For Confucius, these two only can be music (樂), when they become harmony as one, i.e. Jeongriwonyung state of mutual penetration between internal psychological emotion and the etiquette (禮) as the external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